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561

[경기]안성 죽산리석불입상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7호 명 칭 : 안성죽산리석불입상 (安城竹山里石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80.06.02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산6-2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안성시 문 의 : 경기도 안성시 문화체육관광과 031-678-2478 경기도 안성군 죽산면 죽산산성 아래 쓰려져 있던 것을 다시 세운 석불 입상이다. 머리와 신체가 절단되었지만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둥근 연꽃대좌 위에 서 있으며,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다. 부피감 있는 얼굴은 온화한 인상이며, 귀는 길어 어깨까지 닿는다. 양 어깨에 두른 옷에는 두터운 U자형 무늬가 촘촘히 새겨져 있다. 큼직한 머리와 두 손, .. 2015. 4. 19.
[경기]안성 미륵당오층석탑 미륵당 오층석탑 지정번호 : 시지정향토유적 석탑 제20호 시 대 : 고려시대 소 재 지 :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366 경기 안성시 향토유적 제20호 미륵당오층석탑 2014.09.13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1/09/28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안성 죽산리오층석탑 및 죽산리삼층석탑외 2015. 4. 19.
[경기]안성 매산리석불입상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호 명 칭 : 매산리석불입상 (梅山里石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73.07.10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366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안성시 문 의 : 경기도 안성시 문화체육관광과 031-678-2478 경기도 안성에 있는 높이 3.9m의 보살상으로 머리에는 보관(寶冠)이 높이 솟아 있는데, 고려 초기 보살상에서부터 흔히 나타나는 모습이다. 얼굴은 넙적하고 눈·코·입은 비례가 맞지 않아 독특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러한 토속적인 얼굴은 높은 관과 더불어 보살상의 시대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얼굴에 비해서 체구는 작은 편이며 어깨는 둥글고 가슴은 듬직하게 처리되어 있다. .. 2015. 4. 19.
[충북]충주 창동리석조마애여래입상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1호 명 칭 : 충주 창동리 석조약사여래입상 (忠州 倉洞里 石造藥師如來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6.03.03 소재지 : 忠北 忠州市 可金面 倉洞里 243-7 가금면 창동리 243-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화강암 판석 1매에 보주형 광배와 불신을 부조한 불상으로소발위에 두터운 육계가 표현되었으며 눈썹은 반원형이며 얼굴은 통통하게 살이 쪘다. 양귀는 어깨까지 닿으며 삼도가 표현되었다. 법의는 통견이며 왼손을 가슴에 대고 그 위에 약합을 쥐고 있으며 오른손은 가슴위까지 올려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고 있다. 대좌는 장방형 판석에 연화문.. 2015. 4. 13.
[강원]영월 선암마을 한반도 지형 종 목 : 명승 제75호 명 칭 : 영월 한반도 지형 (寧越 韓半島 地形)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명승/ 수량/면적 : 340,627㎡ 지정일 : 2011.06.10 소재지 :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180번지 일원 소유자 : 국유,공유,사유 관리자 : 영월군 한반도를 닮아 ‘한반도 지형’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사계절마다 특색 있는 경관을 보여 주는 명승지이다. 영월 한반도 지형은 서강 지역을 대표하는 경관 중 하나로, 평창강 끝머리에 자리 잡고 있으며, 굽이쳐 흐르는 하천의 침식과 퇴적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지형이다. 명승 제75호 강원 영월 선암마을 한반도지형 2014.08.03 문현준 2015. 4. 11.
[강원]영월 청령포 종   목 : 명승  제50호  명   칭 : 영월 청령포 (寧越 淸泠浦)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경관/ 지형지질경관  수   량 : 면적 204,241㎡(지정구역) 지정일 : 2008.12.26 소재지 : 강원 영월군  남면 광천리 산67-1번지 등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강원 영월군 영월 청령포는 어린 나이에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의 유배지로 서쪽은 육육봉의 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고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섬과 같이 형성된 곳으로 한양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고 전하는 노산대, 망향탑 돌무더기 등 슬픈 역사가 남아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천연기념물인 ‘관음송’을 비롯하여 단종의 어가 주변에 조성된 크고 오래된 소나무림이 270° 돌아흐르는 서강과 어우러져 자연 경관이 뛰어.. 2015. 4. 11.
[강원]영월 선돌 종   목 : 명승  제76호  명   칭 : 영월 선돌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경관/ 지형지질경관  수   량 : 면적 222,774㎡ 지정일 : 2011.06.10 소재지 :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로 64 (하송리)  소유자 : 국·공·사유 관리자 :  영월군 선돌은 영월 방절리 서강가의 절벽에 위치하며 마치 큰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이룬 곳으로 높이 약 70m 정도의 입석으로 신선암(神仙岩)이라고도 불리며, 푸른 강물과 층암절벽이 어우 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는 곳이다. 단종이 영월 청령포(명승 제50호)로 가는 길에 선돌이 보이는 곳에서 잠시 쉬어 가며, 우뚝 서 있는 것이 마치 신선처럼 보였다고 하여 ‘선돌’이 되었다고 하는 전설 등이 담겨있는 명승지이다.   자.. 2015. 4. 11.
[충남]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1호 명 칭 : 영탑사약사여래상 (靈塔寺藥師如來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84.12.29 소재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영탑사 문 의 : 충청남도 당진시 문화체육과 041-350-3581~4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상왕산 영탑사(靈塔寺)의 우뚝 선 암벽에 돋을새김 한 높이 3.5m의 불상이다. 고려말에 무학대사가 사찰을 둘러보니 기이한 바위가 빛을 내고 있어 심상치 않게 여겨 여기에 불상을 조각해 나라의 평안을 빌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을 표현하였고, 얼굴은 윗부분이 넓고 밑부분이 갸름한 형상이며 신체에 비해 큰 편이다. 눈·코·입은 길.. 2014. 12. 9.
[충남]당진 안국사지 석불입상 종 목 : 보물 제100호 명 칭 :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당진시 정미면 원당골1길 188 (수당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당진시 안국사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廢寺地)로 1929년에 다시 세웠다고하나 또다시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신체의 비례상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화되었는데 인체의 조형성이 감소되어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을 준다. 또 몸과 어울리지 않게 팔과 손을 붙여 비현실적인 모습을 .. 2014.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