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문화유산561

[충북]영동 자풍서당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3호 명 칭 : 영동자풍서당 (永同資風書堂)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 량 : 1동 지정일 : 1980.11.13 소재지 : 충북 영동군 양강면 두평리 56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자풍당(18문중) 관리자 : 여운철 문 의 : 충청북도 영동군 문화공보과 043-740-3212 조선 중기의 유학자 동천 이충범(1520∼1598)이 제자들을 양성하던 곳이다. 조선 초기에 양강 강가에 처음 지어졌다고 하는데, 인조 4년(1626) 이후 숙종 46년(1720)까지 여러 차례의 보수공사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처음에는 풍곡당이라고 부르다가 광해군 6년(1614)에 한강 정구 선생이 이곳에 머무르며 자법정풍(資法正風)으로 학문을 장려하였.. 2012. 6. 13.
[충남]논산 송불암 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3호 명 칭 : 송불암미륵불 (松佛庵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면적 1구/2㎡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 75 소유자 : 송불암 관리자 : 송불암 문 의 : 충청남도 논산시 문화관광과 041-730-3226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이 미륵불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석불사(石佛寺)의 불상이다. 지금의 송불암이란 명칭은 미륵불 바로 옆의 노송이 불상과 조화를 이루며 지붕처럼 퍼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양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옷은 가슴부분에서 U자형을 이루었고, 옷자락의 주름은 얕은 선으로 조각하여 발목까지 내려왔다. 왼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오른손은 몸의 측면에 붙이고 있다.. 2012. 6. 6.
[충남]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및 석등 종   목 : 보물  제218호  명   칭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관촉동)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촉사 관리자 : 관촉사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으로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불리며 높이가 18m에 이르는데, 당시 충청도에서 유행하던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원통형의 높은 관(冠)을 쓰고 있고, 그 위에는 이중의 네모난 갓 모양으로 보개(寶蓋)가 표현되었는데, 모서리에 청동으로 만든 풍경이 달려 있다. 체구에 비하여 얼굴이 큰 편이며, 옆으로 긴 눈, 넓은 코, 꽉 다문.. 2012. 6. 5.
[대전]유성 진잠 성북리 석조보살입상 종 목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호 명 칭 : 진잠 성북리 석조보살입상 (鎭岑城北里石造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9.03.18 소재지 : 대전 유성구 성북동 산1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봉소사 관리자 : 봉소사 문 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공보실 042-611-2078 성북동 산뜸 마을 동북쪽 산중턱에 있는 봉소사 안에 서 있는 석조보살상이다. 신체에 비하여 너무 큰 머리에는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보관의 양 옆에는 장신구를 매달았던 듯한 구멍이 있으며, 귀에는 귀걸이를 길게 내려 뜨리고 화려한 장엄구를 달았다. 천의(天衣)는 왼쪽 어깨를 감싸 흘러내리고 있으며, 오른손은 곧게 아래로 내려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하고.. 2012. 5. 3.
[충남]금산 신안사부도 충남 금산 천태산 신안사 부도 2012.04.08 문현준 2012. 5. 3.
[충남]당진 안국사지석조여래삼존불상 종 목 : 보물 제100호 명 칭 :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당진시 정미면 원당골1길 188 (수당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당진시 안국사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廢寺地)로 1929년에 다시 세웠다고하나 또다시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신체의 비례상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화되었는데 인체의 조형성이 감소되어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을 준다. 또 몸과 어울리지 않게 팔과 손을 붙여 비현실적인 모습을 .. 2012. 4. 9.
[충남]서산 용현리마애여래삼존상 종 목 : 국보 제84호 명 칭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3구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고 그 앞쪽에 나무로 집을 달아 만든 마애석굴 형식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 2012. 4. 2.
[충남]서산 여미리석불입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명 칭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瑞山余美里石佛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9.12.29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1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여미리부락 관리자 : 여미리부락 문 의 :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관광과 041-660-3023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있는 불상으로, 1970년대 지금의 위치에서 1㎞ 떨어진 용장천 정비사업 때 하천에서 발견되어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이 냇가에서 5㎞ 쯤 거슬러 올라간 상류에 2구의 불상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떠내려온 것이라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 화강암으로 얼굴과 손등을 조각했으나 옆과 뒷면에는 거친 못 .. 2012. 4. 2.
[충남]예산 상가리미륵불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 명 칭 : 상가리미륵불 (上加里彌勒佛)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2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예산군 관리자 : 예산군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돌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륵불로 불리지만 형태로 볼 때 관세음보살을 표현한 것이 분명하다. 머리에는 풀과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의 가운데에는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길쭉하며 양 볼에 두툼하게 살이 올라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며 입은 옷은 선으로 새겼으며, 왼쪽 어깨에서 .. 2012.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