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법당/충청남도98

충남 서산 일락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3호 일락사대웅전 (日樂寺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일락골길 501 (해미면, 일락사) 시 대 :1487 일락사는 상왕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의현선사가 세웠다. 이 절은 성종 18년(1487) 이후 여러 차례 보수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기록으로 미루어 일제시대 초기인 1919년에 고쳐 세운 건물임을 알 수 있다. 현재 ‘명부전’이란 현판이 달려있는 대웅전은 1993년에 건물을 해체하여 원래 자리 오른편에 세웠는데, 이전 자리에는 대적광전을 새로 지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 2021. 6. 10.
충남 당진 영탑사 수덕사의 말사이며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상왕산에 있는 절. 충남 당진 면천 영탑사 2021.04.23 영탑사 이전글보기 2014.12.09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당진 영탑사 칠층석탑 [충남]당진 영탑사 칠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 명 칭 : 영탑사칠층석탑 (靈塔寺七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 sajin365.net 2014.12.09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 [충남]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1호 명 칭 : 영탑사약사여래상 (靈塔寺藥師如來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 2021. 6. 1.
충남 홍성 고산사 대웅전 보물 제399호 홍성 고산사 대웅전 (洪城 高山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등록)일 : 1963.09.02 소재지 : 충남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127번길 35-99 (무량리) 시 대 : 조선시대 초기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고산사는 신라말 도선국사가 지었다고 전하지만 건물의 위치와 앞 마당에 있는 석탑들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절로 짐작된다. 대웅전은 석가모니 불상을 모신 절의 중심 법당을 가리키는데 이 건물은 ‘대광보전(大光寶殿)’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지붕 위부분에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인.. 2021. 5. 10.
충남 부여 미암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1호 부여저동리쌀바위 (扶餘苧洞里쌀바위)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1.1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산21-5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산중 턱에 있는 높이 30m의 거대한 자연석 바위로, 일명 ‘쌀바위’라 불리는데, 이렇게 불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예전에 한 노파가 대를 이을 손자를 얻기 위하여 미암사라는 절에 찾아와 지성으로 불공을 드렸다. 그러던 중 꿈에 관세음 보살이 나타나 호리병에서 쌀 세톨을 꺼내어 바위에 심고 끼니 때마다 여기서 나는 쌀을 가져다 밥을 지으라고 하였다. 노파가 꿈에서 깨어보니 바위에서 쌀이 나오고 바라던 손자도 얻게 되어 행복하게 살았다... 2020. 3. 5.
충남 예산 향천사 충남 예산 향천사 2019.11.24 향천사 이전글보기 2015/06/27 - [한국의산하/인물및구성] - [충남]예산 향천사에서 [충남]예산 향천사에서 충남 예산 향천사에서 2014.12.13 문현준 향천사 이전글보기 2015/06/27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2015/06/27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의 겨울 2015/06/27 - [한.. sajin365.net 2015/06/27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의 겨울 [충남]예산 향천사의 겨울 충남 예산 향천사의겨울 2014.12.13 문현준 향천사 이전글보기 2015/06/27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 천불전의 겨울 2015/06/27 - [한국의.. 2020. 1. 6.
충남 공주 마곡사 보물 제802호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公州 麻谷寺 大光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시 대 : 백제 의자왕 2년(643)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9년(640) 자장율사가 세웠다는 설과 신라의 승려 무선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던 절로 고려 명종 2년(1172) 보조국사가 절을 다시 세웠으나 임진왜란 뒤 60년 동안 다시 폐사되었다. 훗날 조선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가 대웅전·영산전·대적광전 등을 고쳐 지었다고 한다. 이 건물은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 해탈문·천왕문과 일.. 2020. 1. 3.
충남 서산 개심사 명부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4호 개심사명부전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절의 기록에 의하면 개심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있는데, 진덕여왕 5년(651)과 의자왕 14년(654)은 다른 해에 해당한다. 개심사 경내에는 보물 제143호로 지정된 개심사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심검당, 무량수각 등 여러 건물이 남아 있다.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모시는 전당으로, 기록에 따르면 조선 인조 24년(1646)에 세웠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 2019. 9. 27.
충남 아산 길상사 충남 아산 송악면 길상사 2017.02.17 2019. 8. 21.
충남 천안 북면 지장암 충남 천안 북면 지장암 2016.11.03 2019.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