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법당/충청남도100 [충남]공주 신원사의여름 명 칭 : 신원사대웅전 (新元寺大雄殿)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신원사 관리자 : 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신원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절로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조선 고종 13년(1876)에 보연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의 끝을 살짝 올려 우아한 멋을 나타내었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 2014. 4. 30. [충남]예산 보덕사 극락전 명 칭 : 보덕사극락전 (報德寺極樂殿)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5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 400-74(상가리 277)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보덕사관음암 관리자 : 보덕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보덕사는 서원산 남쪽기슭에 위치한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의 뒤를 이어 고종 8년(1871)에 처음 지어졌다. 가야사에는 금탑이라 불리는 지극히 빼어난 석탑이 있었고, 그 탑의 4면에는 돌로 만든 방이 있어 각각 돌부처가 모셔져 있었다. 그러나 이 절의 터가 왕손을 낳게 한다는 풍수설에 따라 흥선대원군이 철종 11년(.. 2014. 4. 22.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명 칭 : 신원사대웅전 (新元寺大雄殿)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수 량 : 1동지정일 : 1978.12.30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시 대 : 조선시대소유자 : 신원사관리자 : 신원사문 의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신원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절로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조선 고종 13년(1876)에 보연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의 끝을 살짝 올려 우아한 멋을 나타내었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 2013. 10. 9. [충남]천안 광덕사 대웅전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46호 명 칭 : 광덕사대웅전 (廣德寺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0 시 대 : 소유자 : 광덕사 관리자 : 광덕사 문 의 : 충청남도 천안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41-521-2034 광덕사는 신라 선덕여왕 12년(643) 자장율사가 지었고 흥덕왕 때 진산조사가 다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리기 전에는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에서 가장 큰 절 중 하나였다고 한다.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1983년에 완전히 해체하여 복원하였는데 처음보다 크게 세웠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2013. 10. 2.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명 칭 : 신원사대웅전 (新元寺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신원사 관리자 : 신원사 문 의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신원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절로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조선 고종 13년(1876)에 보연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의 끝을 살짝 올려 우아한 멋을 나타내었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2013. 8. 28. [충남]공주 마곡사의겨울 종 목 : 보물 제802호 명 칭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公州 麻谷寺 大光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시 대 : 백제 소유자 : 마곡사 관리자 : 마곡사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9년(640) 자장율사가 세웠다는 설과 신라의 승려 무선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던 절로 고려 명종 2년(1172) 보조국사가 절을 다시 세웠으나 임진왜란 뒤 60년 동안 다시 폐사되었다. 훗날 조선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가 대웅전·영산전·대적광전 등을 고쳐 지었다고 한다. 이 건물은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 해탈문·천왕문.. 2013. 8. 24. [충남]예산 대련사 원통보전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명 칭 : 대연사원통보전 (大蓮寺圓通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광시면 동산리 11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대련사 관리자 : 대련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대연사는 백제 의자왕 16년(656)에 고승인 의각과 도침이 세운 절로 고려시대의 역사는 전하지 않고, 조선시대에 여러 차례 보수하고 고쳐 세운 기록이 남아 있다. 대연사 경내 건물로는 원통보전을 비롯하여 노전, 산신각, 요사채가 있다. 원통보전을 지은 시기는 알 수 없고, 1975년 보수 당시 건물에 관해 기록한 상량문과 ‘극락보전’이라고 쓰인 현판을 발견하여, 인조 2.. 2013. 8. 23. [충남]서산 개심사 대웅전 종 목 : 보물 제143호 명 칭 : 서산 개심사 대웅전 (瑞山 開心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로 321-86, 개심사 (신창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개심사 관리자 : 개심사 절의 기록에 의하면 개심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있는데, 진덕여왕 5년(651)과 의자왕 14년(654)은 다른 해에 해당한다. 개심사는 백제 의자왕 14년(654)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1941년 대웅전 해체 수리시 발견된 기록에 의해 조선 성종 15년(1484)에 고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건물은 고쳐 지을 당시의 모습을 거의 유지하고 있는 것.. 2013. 8. 15. [충남]연기 비암사 극락보전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9호 명 칭 : 비암사극락보전 (碑岩寺極樂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869평방미터,편입면적182.2평방미터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연기군 전의면 비암사길 137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비암사 관리자 : 비암사 문 의 : 충청남도 연기군 문화공보과 041-861-2293 비암사는 통일신라말에 도선국사가 처음 지은 절이라고 전한다. 그 뒤의 확실한 절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비암사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언제 지었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의 건축물이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 2013. 7. 31.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