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법당/충청남도98 [충남]예산 향천사 천불전의 겨울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명 칭 : 향천사천불전 (香泉寺千佛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사로 117-20 (향천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향천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향천사는 수덕사에 딸린 절로 백제 승려 의각이 세운 절이다. 절 경내에 있는 극락전에서 70여m 떨어진 곳에 있는 천불전은 자연석 기단 위에 세운 법당이다. 앞면 4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을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건물의 앞면에는 .. 2015. 6. 27. [충남]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및 대웅보전 종 목 : 보물 제801호 명 칭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公州 麻谷寺 大雄寶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시 대 : 백제 소유자 : 마곡사 관리자 : 마곡사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9년(640) 자장율사가 세웠다는 설과 신라의 승려 무선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던 절로 고려 명종 2년(1172) 보조국사가 절을 다시 세웠으나 임진왜란 뒤 60년 동안 다시 폐사되었다. 훗날 조선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가 대웅전·영산전·대적광전 등을 고쳐 지었다고 한다. 대웅보전은 석가모니불을 모신 법당을 가리키는.. 2015. 6. 4. [충남]부여 무량사극락전 종 목 : 보물 제356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는 2층 불전으로 무량사의 중심 건물이다.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앞면 5칸·.. 2015. 4. 28. [충남]예산 향천사 충남 예산 향천사 2014.11.06 문현준 충남 예산 향천사 이전글보기 2014/10/10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향천사구층석탑 2014/04/14 - [한국의산하/인물및구성] - [충남]예산 향천사에서 2014/04/1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향천사구층석탑 2013/05/03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2013/05/03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 2013/05/03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예산 향천사 단풍중에 2012/08/0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예산 향천사에서~ 2012/08/09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 2012/08/09 - [한국의석탑/충.. 2015. 4. 23.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명 칭 : 신원사대웅전 (新元寺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동길 1 (양화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신원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절로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조선 고종 13년(1876)에 보연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의 끝을 살짝 올려 우아한 멋을 나타내었다. 지붕을 받.. 2014. 10. 22. [충남]청양 장곡사 상대웅전 및 하대웅전 종 목 : 보물 제162호 명 칭 :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靑陽 長谷寺 上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4번지 장곡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장곡사 관리자 : 장곡사 장곡사는 칠갑산에 있는 사찰로 신라 후기 보조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정조 1년(1777) 고쳐 짓고 고종 3년(1866)과 1906년, 1960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은 지형을 따라 위아래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상·하 대웅전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는데, 상대웅전은 하대웅전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상대웅전은 앞면 3칸·옆.. 2014. 8. 5. [충남]논산 쌍계사 대웅전 종 목 : 보물 제408호 명 칭 : 논산 쌍계사 대웅전 (論山 雙溪寺 大雄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양촌면 중산길 192, 쌍계사 (중산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쌍계사 관리자 : 쌍계사 쌍계사는 언제 세웠는지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재 남아있는 유적으로 미루어 보면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영조 15년(1739)에 세운 비가 남아있어 그 당시 절을 고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절의 중심 법당이라 할 수 있는 대웅전은 건축 형식으로 보면 조선 후기 건물로 1972년 보수공사가 있었고 1973년에 단청을 다시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2014. 8. 5. [충남]공주 신원사의여름 명 칭 : 신원사대웅전 (新元寺大雄殿)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78.12.30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신원사 관리자 : 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과 ☎ 1899-0088 신원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절로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조선 고종 13년(1876)에 보연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처마의 끝을 살짝 올려 우아한 멋을 나타내었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 2014. 4. 30. [충남]예산 보덕사 극락전 명 칭 : 보덕사극락전 (報德寺極樂殿)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5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동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 400-74(상가리 277)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보덕사관음암 관리자 : 보덕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보덕사는 서원산 남쪽기슭에 위치한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의 뒤를 이어 고종 8년(1871)에 처음 지어졌다. 가야사에는 금탑이라 불리는 지극히 빼어난 석탑이 있었고, 그 탑의 4면에는 돌로 만든 방이 있어 각각 돌부처가 모셔져 있었다. 그러나 이 절의 터가 왕손을 낳게 한다는 풍수설에 따라 흥선대원군이 철종 11년(.. 2014. 4. 22.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