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석탑1022 강원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신복사지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8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강원 강릉시 내곡동 403-2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신복사의 옛 터에 남아있는 탑이다.신복사는 통일신라 때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한 절로, 창건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즉 신라의 한 처녀가 우물에 비친 햇빛을 보고 그 물을 마셨는데 곧 아이를 배어 낳게 되었다.집안 사람들이 아이를 내다버렸으나, 아이의 주위로 빛이 맴돌아 괴이하게 여겨 다시 데려와 길렀는데, 그 이름을 범(梵)이라 하였다.범이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고향에 돌아와 신복사와 굴산사(掘山寺)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이 탑은 2.. 2019. 12. 13. 강원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보물 제499호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8.12.19 소재지 : 강원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 낙산사 (전진리) 시 대 : 조선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이 석탑은 창건 당시 3층이던 것을 세조 13년(1467)에 이르러 현재의 7층으로 조성한 탑이다. 이때 수정으로 만든 염주(念珠)와 여의주를 탑 속에 봉안하였다 한다. 조선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음으로써 천여년간 국교로 자리잡고 있었던 불교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와 함께 불교와 관련된 조형 미술의 분야도 위축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그나마 조선 전기에는 불교미술 분야에서 조성 양식이나 수법이 고려적인 작품이 다소 조성되었다. 낙산사7층석탑도 고.. 2019. 12. 13. 전남 신안 읍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명 칭 : 신안읍리삼층석탑 (新安邑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09.22 소재지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읍리 350-1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들판 한 가운데 서 있는 탑으로, 탑이 속했던 절의 구체적인 역사는 전하고 있지 않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를 세우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마다 기둥조각을 가지런히 새겨 넣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한돌로 이루어졌으며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두꺼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약간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2019. 12. 6. 경북 경주 장항리 종 목 : 국보 제236호 명 칭 :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慶州 獐項里 西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7.03.09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1083 시 대 : 통일신라 장항리사지는 토함산 동쪽의 한 능선이 끝나는 기슭에 마련된 절터로서, 절의 이름을 정확히 알 수 없어 마을의 이름인 ‘장항리’를 따서 장항리사지라 부르고 있다. 이 곳에는 현재 금당터를 중심으로 동탑과 서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1923년 도굴범에 의해 붕괴된 것을 1932년에 복원이 가능한 서탑만을 새로이 복원해 놓았다. 동탑은 1층 탑신(塔身)과 5층까지의 지붕돌만 남아있으나, 서탑은 약간 소실된 것을 빼고는 비교적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서탑은 2단의.. 2019. 11. 19. 경북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 종 목 : 국보 제112호 명 칭 :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가람으로 가는 최초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감은사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당시 틈만 나면 동해로 쳐들어 오던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어 나라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세운 절로, 동해 바닷가인 이 곳.. 2019. 11. 19. 충남 아산 온천리 석탑 충남 아산 온천리 석탑 2018.11.25 온천리 석탑 이전사진보기 2013/08/22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6호 명 칭 : 온천리석탑 (溫泉里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해제일 : 1987.12.28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온천동 242-1.. sajin365.net 2013/08/20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충남]아산 온천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6호 명 칭 : 온천리석탑 (溫泉里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구 지정일 : 1984.05.17 해.. 2019. 11. 19. 강원 춘천 박물관석탑 강원 춘천 박물관석탑 2018.10.23 강원춘천의석탑 이전글보기 2014/12/03 - [한국의석탑/강원도] - [강원]춘천 남이섬칠층석탑 [강원]춘천 남이섬칠층석탑 강원 춘천 남이섬 칠층석탑 2014.06.06 문현준 sajin365.net 2014/06/26 - [한국의석탑/강원도] - [강원]춘천 서상리삼층석탑 [강원]춘천 서상리삼층석탑 종 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호 명 칭 : 서상리삼층석탑 (西上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서면 서상리 247 시 대 : 통일신라.. sajin365.net 2012/03/10 - [한국의석탑/강원도] - [강원]춘천 칠층석탑 [강원]춘천 칠층석탑 종 목 : .. 2019. 11. 18. 충남 아산 외암리삼층석탑 충남 아산 외암리민속마을 삼층석탑 2018.10.21 이전글보기 2015/08/17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외암리 삼층석탑 [충남]아산 외암리 삼층석탑 충남 아산 외암리 삼층석탑 2015.03.04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3/04/2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외암리 민속마을 삼층석탑 sajin365.net 2013/04/2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외암리 민속마을 삼층석탑 [충남]아산 외암리 민속마을 삼층석탑 외암리 민속마을 삼층석탑 2012.11.01 문현준 sajin365.net 2019. 11. 17. 충남 아산 온양민속박물관 석탑 충남 아산 온양민속박물관 석탑 2018.10.18 온양민속박물관 석탑 이전글보기 2016/04/29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 아산 온양민속박물관석탑 충남 아산 온양민속박물관석탑 충남 아산 온양민속박몰관내 석탑 2015.10.27 문현준 온양민속박물관내 석탑 이전글보기 2012/08/13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온양민속박물관내 삼층석탑 2012/08/13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sajin365.net 2012/08/13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온양민속박물관내 삼층석탑 [충남]아산 온양민속박물관내 삼층석탑 온양민속박물관내 삼층석탑 2012.05.18 문현준 sajin365.net 2012/08/13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아산 온양민.. 2019. 11. 17.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