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석탑1010 [충남]청양 서정리구층석탑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靑陽 西亭里 九層石塔) 종 목 : 보물 제18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청양군 공주에서 청양쪽으로 23㎞ 떨어진 벌판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부근에 고려시대 백곡사(白谷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주위에 기와조각 등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들은 찾아볼 수 없다.탑은 2단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돌려 새겼는데, 바닥선이 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양식상 특징을 드러낸다. 윗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2014. 8. 28. [전남]곡성 태안사 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0호 명 칭 : 태안사삼층석탑 (泰安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8.12.21 소재지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 (원달리)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태안사 문 의 : 전라남도 곡성군 지역개발과 061-363-1633 태안사 내 연못 중앙에 마련된 작은 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절 내의 광자대사 부도 앞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원래는 기단(基壇)의 한쪽 면과 탑신(塔身)의 1층 지붕돌, 2·3층 몸돌이 없어진 상태였는데, 이곳으로 옮기면서 새로이 보충하여, 2층 기단에 3층의 탑신을 갖추고 있다. 기단 아래로는 탑을 옮길 때 마련해 둔 3단의 받침이 놓여 있어 전체.. 2014. 8. 8. [충남]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9호 명 칭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 2014. 8. 5. [강원]화천 위라리칠층석탑 종 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0호명 칭 : 위라리칠층석탑 (位羅里七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71.12.16소재지 : 강원 화천군 하남면 춘화로 3370 (위라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소유단체)관리자 : (관리단체) 화천군문 의 : 강원도 화천군 문화관광과 033-440-2225 고려시대의 옛 절터에 남아 있는 7층 석탑이다. 기단부재, 탑몸돌, 지붕돌 등이 사방에 흩어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다시 세운 것으로, 지붕돌과 탑신의 1 ·2 ·3층의 몸돌은 원래의 것이고 4층 이상의 몸돌은 1975년 복원할 때 보충한 것이다. 탑의 형태는 커다란 바닥돌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은 각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겨놓았고.. 2014. 6. 26. [강원]춘천 서상리삼층석탑 종 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호 명 칭 : 서상리삼층석탑 (西上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서면 서상리 247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춘천시 문 의 : 강원도 춘천시 문화예술과 033-250-3062 양화사터에 남아 있는 3층 석탑이다. 주변에 절의 흔적은 보이지 않고, 탑만이 홀로 남아 옛 터를 지키고 있다.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진 모습이다. 현재 기단은 아랫부분이 땅속에 묻혀 정확한 형태를 알기 어려우나, 2층 기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윗부분만 드러나 있는 아래층 기단 위에 위층 기단이 놓여 있는데 네 모서리에 새긴 기둥표현과 맨윗돌의 비스듬한.. 2014. 6. 26. [강원]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종 목 : 보물 제410호명 칭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64.09.04소재지 : 강원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로 1062 (고한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정암사관리자 : 정암사 정암사 적멸보궁 뒤의 산비탈에 세워진 7층의 모전석탑이다. 모전석탑이란 전탑을 모방한 탑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 쌓아올린 탑을 말한다. 화강암으로 6단의 기단(基壇)을 쌓고 탑신부를 받치기 위해 2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신(塔身)은 회녹색을 띤 석회암으로 쌓았는데, 표면을 정교하게 잘 정돈하여 벽돌을 사용한 것처럼 보인다. 1층 몸돌의 남쪽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마련했으며, 1장의 돌을 세워 문을 만들고 그 .. 2014. 6. 25. [강원]태백 본적사지삼층석탑 종 목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6호명 칭 :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太白 本寂寺址 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2000.01.22소재지 : 강원 태백시 황지동 467-10번지시 대 : 신라소유자 : 관리자 : 국유문 의 : 강원도 태백시 관광문화과 033-550-2083 본적사 터에 있던 3층 석탑의 부재들이다. 30여년전 이한묵씨가 절터에 밭을 개간할 때 현재 집터 뒤에 묻혀 있던 것을 발견하여 다른 곳에 옮겨 놓았다가, 그 후 주변에 집들이 들어서면서 흩어져 하수도 뚜껑, 방 구들장, 주춧돌, 담장 등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지금은 태백시에서 각 부분들을 모아 태백석탄박물관에 보관중이다.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비교적 잘 계승한 것으로, 현재 남아.. 2014. 6. 25. [전북]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289호 명 칭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7.01.01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익산시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 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을 석탑에서 그대로 재현.. 2014. 6. 24. [전북]익산 온수리석탑 전북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 494익산 왕궁리 석탑 2013.08.16문현준 2014. 6. 24.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