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20 [충남]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명 칭 : 향천사구층석탑 (香泉寺九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향천사 관리자 : 향천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향천사 나한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은 몸돌의 모서리에 각각 기둥 모양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2층 몸돌은 1층에 비해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4층 부터는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포개져 있어 옛 탑이 지니고 있었을 아름다움을 많이 잃고 있다. 얇고 넓적한 지붕.. 2015. 6. 27. [충남]예산 향천사의 겨울 충남 예산 향천사의겨울 2014.12.13 문현준 향천사 이전글보기 2015/06/27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 천불전의 겨울 2015/06/27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 부도 2015/06/02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예산 향천사의가을 2015/04/23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향천사구층석탑 2015/04/23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예산 향천사 2014/10/10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향천사구층석탑 2014/04/14 - [한국의산하/인물및구성] - [충남]예산 향천사에서 2014/04/1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예산 향천사구층석탑 2013/05/03 - [한국의석탑.. 2015. 6. 27. [충남]예산 향천사 천불전의 겨울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명 칭 : 향천사천불전 (香泉寺千佛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사로 117-20 (향천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향천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향천사는 수덕사에 딸린 절로 백제 승려 의각이 세운 절이다. 절 경내에 있는 극락전에서 70여m 떨어진 곳에 있는 천불전은 자연석 기단 위에 세운 법당이다. 앞면 4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을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건물의 앞면에는 .. 2015. 6. 27. [충남]예산 향천사 부도 예산 향천사부도 종 목 : 문화재자료 제179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7 시 대 : 시대미상 소유자 : 향천사 관리자 : 향천사 연락처 : 충청남도 예산군 경영관리실 041-330-2314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향천사 천불전에서 서쪽으로 약 70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 이 2기의 부도는 각각 백제말 이 절을 창건하였던 의각스님의 사리와 조선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모아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던 멸운스님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앞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보이는 부도는 바닥돌 위로 아래·가운데·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을 .. 2015. 6. 27. [경기]의정부 회룡사오층석탑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6호 명 칭 : 의정부회룡사오층석탑 (議政府回龍寺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3.04.21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전좌로155번길 262 (호원동, 회룡사)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문 의 : 경기도 의정부시 문화관광체육과 031-828-2153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6호 이 석탑은 단층 기단위에 오층탑신을 올린 높이 3.3m 규모의 일반형석탑이다. 지대석과 기단의 상면에는 단엽 복판의 연화문을 조각했고, 면석의 각 면에는 장방형의 구획을 나눈 후 모두 안상을 새겼다. 1층부터 3층까지는 탑신석과 옥개석을 각각 별개의 석재로 4층 이상은 탑신과 옥개석을 동일석(同一石)으로 조성했다. 탑신석의 각.. 2015. 6. 26. [경기]의정부 미륵암 삼층석탑 경기 의정부 미륵암 삼층석탑 2014.12.11 문현준 2015. 6. 26. [충남]아산 용화동 야경 아산 용화동 야경중에. 2014.12.08 문현준 2015. 6. 26. [경북]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명 칭 : 영천정각리삼층석탑 (永川正覺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2.07.18 소재지 : 경북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78-1번지 시 대 소유자 관리자 : 영천시 문 의 : 경상북도 영천시 도시주택과 054-330-6354 현재는 밭으로 사용되는 자그마한 터에 서 있는 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세 몸돌은 각 면마다 기둥모양을 가지런히 새겨 놓았다. 아래층 기단에는 독특하게도 연꽃무늬를 새겨 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각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끝에서 아주 서서히 들려 있다. 꼭대.. 2015. 6. 23. [경북]영천 공덕동 삼층석탑 종 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3호 명 칭 : 영천공덕동삼층석탑 (永川公德洞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영천시 화북면 공덕리 173-1번지 시 대 소유자 관리자 : 영천시 문 의 : 경상북도 영천시 도시주택과 054-330-6354 동덕사라는 절에 있던 3층 석탑으로, 절이 없어진 후 서씨 문중 소유인 송계정사에 옮겨졌다가 1973년 동네 입구로, 1974년 다시 지금의 자리로 옮겨 왔다. 형태는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두툼하며,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 두툼하게 조각된 지붕돌 솜씨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운 것.. 2015. 6. 23. 이전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