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39

서울 관악 낙성대삼층석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낙성대 삼층석탑 (落星垈 三層石塔) 서울시 관악구 낙성대동 218-9번지 강감찬 생가 터에 위치하고 있던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1973~74년 낙성대공원을 조성하면서 생가 터에 있던 석탑을 낙성대공원내 안국사 경내로 옮겨왔다. 석탑의 조성연대는 13세기로 추정되며 자재는 화강암, 탑의 높이는 4.48m이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낙성대 삼층석탑 (落星垈 三層石塔) 2019.05.04 2019. 12. 17.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석탑들 국보 제99호 김천 갈항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金泉 葛項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갈항사터(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오봉동 소재)에 동·서로 세워져 있던 두 탑으로, 일제시대에 일본으로 반출될 위기에 처하자 1916년 경복궁으로 옮겨지고,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놓았다.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일반적인 모습이며, 서로 규모와 구조가 같다. 기단의 네 모서리와 각 면의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는데, 특히 가운데기둥은 .. 2019. 12. 15.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석등및 승탑외 보물 제190호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거돈사터에 남아 있던 고려 전기의 승려 원공국사의 사리탑으로, 일제시대에 일본사람의 집에 소장되고 있던 것을 1948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현재 탑은 바닥돌이 없이 바로 기단(基壇)이 시작되고 있다.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은 각 부분이 8각으로, 아래받침돌은 각 면마다 안상(眼象)을 새긴 후, 그 안에 꽃 모양의 무늬를 두었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래·위에 .. 2019. 12. 15.
충남 당진 석문방조제에서 충남 당진 석문방조제에서 2019.04.30 2019. 12. 15.
충남 아산 야경 충남 아산 야경 2019.04.28 아산야경 이전글보기 2019/11/11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아산 야경 충남 아산 야경 충남 아산 일몰 및 야경 2018.10.04 sajin365.net 2019/10/02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아산야경 충남 아산야경 충남 아산 온양문화제중에 불꽃놀이 2018.04.27 아산야경 이전글보기 2019/09/10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2017.11.30 곡교천 이전글보.. sajin365.net 2019/09/10 - [한국의산하/일출및일몰] -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충남 아산 곡교천 야경 2017.11.30 곡교천 이전글보기 2019.. 2019. 12. 15.
강원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국보 제122호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6.02.28 소재지 : 강원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토펄 진전사의 옛터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진전사는 8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에 도의국사가 창건한 절이라 전하는데, 터 주변에서 ‘진전(陳田)’이라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절의 이름이 밝혀졌다. 탑은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날아갈 듯한 옷을 입은 천인상(天人像)이 있으며, 위층 기단에는 구름위에 앉아 무기를 들고 있는 웅건한 모습의 8부신중(八部神衆)이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2019. 12. 14.
강원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보물 제444호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6.09.21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황이리 424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1948년에 명문(銘文)이 있는 신라 범종이 발견되어 주목되었던 선림원터에는 석탑을 비롯하여 석등·홍각선사탑비·석조부도 등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들 석조유물들은 대부분 쓰러져 있었으나 모두 복원되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전형적인 신라석탑으로, 법당터 남쪽의 원래 위치에 복원되었다. 여러 장의 돌로 탑의 토대를 만들고, 아래층 기단을 올려 각 면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겼다. 위층 기단 역시 각 면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겼는데, .. 2019. 12. 13.
강원 양양 선림원지 석등 보물 제445호 양양 선림원지 석등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6.09.21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황이리 424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선림원터 안의 서쪽 언덕 위에 놓여있는 돌로 만든 등이다. 선림원은 신라의 옛 절로, 이 곳에서 출토된 신라범종을 통해, 당시 해인사를 창건했던 순응법사(順應法師)에 의해 창건되었음이 밝혀졌다. 지금은 이 터가 경작지로 변하였으나, 여러 유물들이 남아있고 각종 기와와 토기조각들이 아직까지도 발견되고 있어 그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석등은 불을 켜두는 곳인 화사석(火舍石)이 중심이 되어 아래에는 이를 받치기 위한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2019. 12. 13.
강원 양양 선림원지 승탑 보물 제447호 양양 선림원지 승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6.09.21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황이리 산89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선림원은 해인사를 창건한 순응법사가 연 절로, 1948년 절터에서 연대가 804년으로 적힌 신라시대 범종이 나오면서 창건연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승탑은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파손되었던 것을 1965년 11월에 각 부분을 수습하여 현재의 자리에 복원한 것으로 기단부(基壇部)만이 남아있다. 기단의 구조로 보아 8각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승탑임을 알 수 있는데, 신라 때에 돌로 만든 승탑은 대부분 이러한 형태를 띠고 있다. 정사각형의 바닥돌 위로 기단의 아래받침돌·중간받침돌·윗받.. 2019.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