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여100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부도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내 부도 2020.03.02 2020. 3. 5.
충남 부여 전통문화대학교 석탑 충남 부여 한국전퉁문화대학교 내 삼층석탑및 오층석탑 2020.03.02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교내 석탑 이전글보기 2014/05/14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2013.08.13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삼층석탑 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 sajin365.net 2012/03/05 - [한국의석탑/충청남도]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삼층석탑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삼층석탑 충남 부여 한국문화전통학교내 삼층석탑 2012.02.26 촬영 문현준 sajin365.net 201.. 2020. 3. 5.
충남 부여 현내리부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 현내리부도 (縣內里浮屠)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3.12.26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금백로 369-18 (석성면)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현내리 탑골마을에 서 있는 이 부도는 주위에 별다른 절터의 흔적을 찾을 수 없어 원래의 자리인지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맨 아래의 바닥돌은 보이지 않고, 그 위의 기단(基壇)부터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층으로 마련된 기단은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다. 윗돌을 괴어주는 가장자리에는 얕게 연꽃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2층을 이루는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 2020. 3. 5.
충남 부여 미암사 석탑 충남 부여 미암사 석탑 2020.03.02 2020. 3. 5.
충남 부여 미암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1호 부여저동리쌀바위 (扶餘苧洞里쌀바위)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1.1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산21-5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산중 턱에 있는 높이 30m의 거대한 자연석 바위로, 일명 ‘쌀바위’라 불리는데, 이렇게 불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예전에 한 노파가 대를 이을 손자를 얻기 위하여 미암사라는 절에 찾아와 지성으로 불공을 드렸다. 그러던 중 꿈에 관세음 보살이 나타나 호리병에서 쌀 세톨을 꺼내어 바위에 심고 끼니 때마다 여기서 나는 쌀을 가져다 밥을 지으라고 하였다. 노파가 꿈에서 깨어보니 바위에서 쌀이 나오고 바라던 손자도 얻게 되어 행복하게 살았다... 2020. 3. 5.
충남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5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66 무량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 2019. 8. 28.
충남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9호 명 칭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 2019. 7. 7.
충남 부여 궁남지 충남 부여 궁남지 2016.10.05 촬영 궁남지 이전글 보기 2018/09/1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층남 부여 궁남지 수련 층남 부여 궁남지 수련 충남 부여 궁남지 수련 2016.06.26 궁남지 이전글보기 2018/09/18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 부여 궁남지야경 사적 제135호 2018/09/0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부여 궁남지 수련 2011/11/17.. sajin365.net 2018/09/18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 부여 궁남지야경 사적 제135호 충남 부여 궁남지야경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 사적 제135호 분 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원 수량/면적 : 210,881㎡ 지정일 : 1964.06.10 소재지 : 충남 부여.. 2019. 7. 7.
층남 부여 궁남지 수련 충남 부여 궁남지 수련 2016.06.26 궁남지 이전글보기 2018/09/18 - [한국의문화유산/충청권] - 충남 부여 궁남지야경 사적 제135호 2018/09/04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 부여 궁남지 수련 2011/11/1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포룡정 2011/11/1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포룡정야경 2011/10/2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1/10/2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1/10/2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미리가본 궁남지 2011/10/2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1/10/.. 2018.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