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100 충남 부여 궁남지야경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 사적 제135호 분 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원 수량/면적 : 210,881㎡ 지정일 : 1964.06.1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17번지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관리자 : 부여군 부여 남쪽에 위치한 백제의 별궁 연못이다. 백제 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궁궐의 남쪽에 연못을 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20여 리나 되는 긴 수로를 통해 물을 끌어들였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연못 가운데에 방장선산을 상징하는 섬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수로와 물가·연못 속의 섬이 어떤 모양으로 꾸며져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못의 중앙부에 석축과 버드나무가 남아있어 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주변.. 2018. 9. 18. 충남 부여 궁남지 수련 충남 부여 궁남지 2016.06.15 궁남지 이전글보기 2011/11/17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포룡정 2011/11/1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포룡정야경 2011/10/2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1/10/29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1/10/28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미리가본 궁남지 2011/10/2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1/10/2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1/10/25 - [한국의산하/풍경및생태] - [충남]부여 궁남지 연꽃 2018. 9. 4. 충남 부여 무량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5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66 무량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 2016. 4. 27. 충남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내산면은행나무) 종 목 : 천연기념물 제320호 명 칭 :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扶餘 珠岩里 은행나무)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면적 : 1주 지정일 : 1982.11.09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번지 4필 시 대 : 소유자 : 부여군 외 관리자 : 부여군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부여 주암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0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23m, 가슴높이의 둘레는 8.6.. 2016. 4. 27. [충남]부여 대조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0호 명 칭 : 대조사석탑 (大鳥寺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 12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조사 관리자 : 대조사 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대조사 원통보전 앞에 서 있는 탑으로, 일부만 남아있던 것을 1975년에 다른 일부를 찾아 다시 세운 것이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 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인데, 탑신의 2·3층 몸돌과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새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기단은 각 층마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 뜬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지.. 2015. 8. 15. [충남]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종 목 : 보물 제217호 명 칭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보살상 수량/면적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 (구교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조사 관리자 : 대조사 고려시대에 유행한 거대한 석조미륵보살의 하나로 논산에 있는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과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보살을 형상화한 것으로 높이가 10m나 되는 거구이다.머리 위에는 이중의 보개(寶蓋)를 얹은 네모난 관(冠)을 쓰고 있으며 보개의 네 모서리에는 작은 풍경이 달려있다. 관 밑으로는 머리카락이 짧게 내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머리모.. 2015. 8. 15. [충남]부여 무량사에서 단풍 충남 부여 무량사에서 다중노출로.. 2014.11.14문현준 2015. 4. 29. [충남]부여 무량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85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66 무량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 2015. 4. 28. [충남]부여 무량사극락전 종 목 : 보물 제356호 명 칭 :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면적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무량사 관리자 : 무량사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는 2층 불전으로 무량사의 중심 건물이다.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앞면 5칸·.. 2015. 4. 28.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