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30 경기 안성 도기동 삼층석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6호 안성도기동삼층석탑 (安城道基洞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9.06.21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도기동 184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구 안성 읍내가 내려다보이는 도기동 입구 언덕 위에 건립되어 있다. 단층기단과 기단 중석이 있고 그 위에 평면방형의 3층 탑신을 올린 높이 5.4m의 일반형 석탑이다. 여러 개의 장대석으로 조립된 지대석 위에 양 우주만이 모각된 단층 기단을 놓았다. 갑석은 1매의 판석으로 조성되었는데,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이 마련되어 있다. 탑신부 중 1층 탑신석만 여러 장의 석재를 사용하였을 뿐 나머지는 모두 하나의 석.. 2019. 12. 26. 서울 강서 약사사 삼층석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호 약사사 삼층석탑 (藥師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석탑 1基, 토지 2.6㎡ 지정일 : 1980.06.11 소재지 : 서울 강서구 개화동 322-1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이 탑은 원래 약사사 석불 입상이 모셔져 있던 금당 바로 앞에 서 있던 삼층석탑으로 약사사의 역사를 보여주기도 한다. 개화산 중턱에 있는 이 탑은 한강을 내려다보면서 서 있는데, 그 모습이 투박한듯하면서도 날렵하다. 이 석탑은 일층 기단과 삼층 탑신으로 구성된 독특한 형식이다. 석탑의 받침부(基壇部)에는 사각형 지대석 위에 큼직한 사각형 기단과 판석으로 된 갑석이 놓여 있다. 다소 육중한 기단 위에는 갓기둥(隅柱)이 있는 1층 탑신과 큼직하고 가파른.. 2019. 12. 22. 서울 원지동 석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3호 원지동 석불입상 및 석탑 (院趾洞 石佛立像 및 石塔)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 석불 1軀, 석탑 1基, 토지 1.1㎡ 지정일 : 1993.04.10 소재지 : 서울 서초구 원지동 362-4번지 , 362-5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청계산 등산로로 진입하는 고속도로 굴다리 입구 오른쪽에 미륵당이 세워져 있는데, 그 안에는 미륵불이 모셔져 있고 작은 규모의 3층석탑이 있다. 미륵불은 약 2m 크기의 서 있는 모습으로, 고려말 조선초의 토속적인 양식을 띠고 있다. 원터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지며, 1년에 한번씩 주민들이 제사를 드린다고 한다. 이 미륵불에 지성을 드리면 길흉화복을 계시한다 하여 일본인들이 미륵불을 일본으로 반출하려다 실패한 일.. 2019. 12. 21. 서울 고려대학교내 석탑 및 부도 삼층석탑 1 삼층석탑 2 오층석탑 부도 고려대학교 내 삼층석탑 및 오층석탑과 부도 2019.06.01 2019. 12. 20.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양평군 향토유적 제33호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양평군 향토유적 제33호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2019.05.16 이전글 보기 2019/07/02 - [한국의석탑/서울경기] -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2016.08.20 촬영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 sajin365.net 2019. 12. 19. 경기 양평 용천리삼층석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1호 양평용천리삼층석탑 (楊平龍川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304번지 사나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사나사 대웅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으로, 기단부(基壇部)와 탑신부(塔身部), 머리장식을 갖추고 있다. 바닥돌 위에는 아래층 기단의 맨 윗돌로 보이는 부재가 놓여 있고, 위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이 있다. 특히 탑신의 1층 몸돌을 다른 층에 비해 월등히 높게 만들어 놓아 독특한 모습이다. 지붕돌은 윗면에 느린 경사가 흐르고, 네 귀퉁이에서 경쾌하게 위로 들려 있으며, 밑면에는 3단씩의 받침을 두고 있다. 꼭대기에는 머.. 2019. 12. 19. 서울 관악 낙성대삼층석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낙성대 삼층석탑 (落星垈 三層石塔) 서울시 관악구 낙성대동 218-9번지 강감찬 생가 터에 위치하고 있던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1973~74년 낙성대공원을 조성하면서 생가 터에 있던 석탑을 낙성대공원내 안국사 경내로 옮겨왔다. 석탑의 조성연대는 13세기로 추정되며 자재는 화강암, 탑의 높이는 4.48m이다.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낙성대 삼층석탑 (落星垈 三層石塔) 2019.05.04 2019. 12. 17. 강원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국보 제122호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6.02.28 소재지 : 강원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토펄 진전사의 옛터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진전사는 8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에 도의국사가 창건한 절이라 전하는데, 터 주변에서 ‘진전(陳田)’이라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절의 이름이 밝혀졌다. 탑은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날아갈 듯한 옷을 입은 천인상(天人像)이 있으며, 위층 기단에는 구름위에 앉아 무기를 들고 있는 웅건한 모습의 8부신중(八部神衆)이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2019. 12. 14. 강원 양양 서림사지 삼층석탑 및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19호 양양서림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정일 : 1996.09.30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구룡령로 2115 (서림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현재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 상평초등학교 현서분교 교정에 3층석탑과 함께 보존되어 있는 불상으로, 1965년 가까운 논에서 발견되어 옮겨 놓은 것이다. 불상의 머리는 없어졌고 몸도 손상이 많은 상태이다.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오른손으로 왼손 검지를 감싼 형태로 보아 비로자나불을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8각형의 대좌(臺座)는 결실된 부분이 있지만 조각솜씨가 매우 우수하다. 밑받침돌 위에 4매의 석재로 구성된 하대석을 올려 놓았는데, 각 면마다 1구씩의 사자를 돋을새.. 2019. 12. 1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