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층석탑428

강원 원주 용운사지 삼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3호 용운사지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3.07.31 소재지 : 강원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402-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원주시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탈 용운사터에 석불과 나란히 서있는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탑 주변에서 ‘용운사’라 새긴 기와가 발견되어 절 이름을 알게 되었다. 탑은 2층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 맨 윗돌 위에는 연꽃을 두른 두툼한 괴임돌을 두어 탑신의 1층 몸돌을 받치도록 하였는데, 이는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독특한 장식 수법이다.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의.. 2019. 7. 7.
전남 함평 용천사 삼층석탑 전남 함평 용천사 삼층석탑 2016.09.25 촬영 문현준의 사진속으로 용천사 이전글보기 2019/07/04 - [한국의법당/전라권] -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용천사 2016.09.25 촬영 문현준의사진속으로 sajin365.net 2019. 7. 4.
경기 양평 지평리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양평지평리삼층석탑 지정(등록)일 : 2002.04.08 소 재 지 : 경기 양평군 지평면 지평의병로 107 (지평리) 2016.08.20 촬영 양평 지평리삼층석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19. 7. 2.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2016.08.20 촬영 경기 양평 옥천리 삼층석탑 문현준의사진속으로 2019. 7. 2.
전북 군산 은적사 삼층석탑 전북 군산 은적사 삼층석탑 2016.07.10 은적사 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6/06/02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 군산 은적사 삼층석탑 2012/03/27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군산 은적사 오층석탑 2012/03/27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군산 은적사삼층석탑 2018. 10. 4.
경북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보물 제67호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보물 제67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경주시 효현동 419-1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탑이 세워진 이 터는 신라 법흥왕이 죽기 전까지 승려로서 불도를 닦았다는 애공사(哀公寺)가 있었던 곳이라 전해오기도 하지만 주변이 논밭으로 변하여 사찰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은 사방 네 면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 탑신에 비해 과중한 비율을 보이고 있어 무거운 느낌을 준다. 탑신(塔身)은 각 층의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뜬 조각을 두었고, 지붕돌은 하늘을 향해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어 경쾌한 곡선을.. 2018. 9. 17.
경북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 보물 제908호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 보물 제908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87.03.09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건천읍 용명리 856-7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용명리의 절터 주변은 민가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절의 규모와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과거에는 탑이름을 ‘명장리삼층석탑’이라 하였던 점으로 미루어 ‘용명리사지탑’이라는 이름 역시 확실하지 않다. 석탑의 형태는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는데, 가운데에는 그 기둥이 2개씩이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씩이고, 각 몸돌마다 네 모서리에 기둥조각을 두었다. 지붕돌은 .. 2018. 9. 14.
경북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보물 제65호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보물 제65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서악동 705-1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통일신라시대 모전탑 계열에 속하는 탑으로, 무열왕릉 동북쪽 비탈진 곳에 서 있다. 모전탑은 전탑(전탑: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모방한 것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것을 이른다. 기단(基壇)은 주사위 모양의 커다란 돌덩이 8개를 2단으로 쌓은 독특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 윗면에 1층 몸돌을 받치기 위한 1장의 평평한 돌이 끼워져 있는데, 남산리 석탑에 3단의 층급이 있는 것에 비하면 간략화된 것이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1장의 돌로 되.. 2018. 9. 14.
경북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 보물 제907호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 보물 제907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7.03.09 소재지 : 경북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 234-2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이름없는 옛 절터에 남아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1975년에 보수하였는데 이 때 위층 기단의 북쪽 가운데돌을 새로 보충했을 뿐 대부분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남아있다. 아래층 기단은 밑돌·가운데돌·맨윗돌을 모두 붙여서 4장의 돌로 짰고, 가운데돌의 모서리와 네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겨두었다. 위층 기단에도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에서도 역시 몸돌의 네 모서리에 기둥을 본떠 새겼다. .. 2018.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