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층석탑428

경북 경주 남사리 북삼층석탑 문화재자료 제7호 경주 남사리 북삼층석탑 문화재자료 제7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 313-4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겅주시 탑이 있었던 사찰이나 탑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탑신(塔身)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네 귀퉁이가 많이 훼손된 지붕돌은 밑면에 새긴 5단의 받침이 비교적 선명하다. 탑의 건립시기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다. 1973년 경주경찰서 신청사를 준공할 때 기단부(基壇部)만 남겨두고 지붕돌 3개를 경찰서 정원으로 옮겨 보존해 오다가 지역 주민들의 건의에 따라 1995년 부족한 탑재를 보충하여 복원해 놓았다. 자료바로가기 : 국가문화유산포탈 경북 경주 문화재 경주남사리.. 2018. 9. 12.
경북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8부신중) 보물 제609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7.08.22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영양읍 화천리 835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영양군 자 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의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을 한 면에 3구씩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는데, 손에는 각각 무기를 들고 앉아있는 모습이다. 위층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조각으로 나뉘어진 8곳에 팔부중상(八部衆像)을 새겨 놓았다.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조성된 탑신은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조각을 새겼다... 2018. 8. 28.
경북 영양 용화동 삼층석탑 영양용화동3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8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72.12.29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583번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 영양군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용화동 입구의 밭 가운데 자리하고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위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1층과 2층은 4단, 3층은 3단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다. 기단의 맨윗돌 일부분이 깨지고,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없어졌지만 다른 부재들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각 부재들의 비례와 균형이 잘 맞아 안정감이 느껴지는 탑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2018. 8. 28.
경북 영양 신구동 삼층석탑 영양신구동삼층석탑 문화재자료 제84호 분 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1 985.08.05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번지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 : (소유단체) 관리자 : 조위징 자료: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은 밑부분이 땅 속에 묻혀있어 자세한 구조를 알 수 없고, 탑신은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3층에는 머리장식의 네모난 받침돌이 몸돌 대신 끼워져 있고, 각 층의 지붕돌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소박한 모습의 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1999년.. 2018. 8. 28.
경북 영양 서부리 삼층석탑 경북 영양 석탑 서부리 삼층석탑 2018. 8. 28.
충북 단양 향산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05호 명 칭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북 단양군 가곡면 향산1길 24 (향산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단양군 단양읍에서 동쪽으로 16㎞ 떨어진 산골짜기의 밭 한가운데에 서 있는 탑이다. 주변에 자기조각들과 기와가 널려 있어서 이 곳이 절터였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절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1935년경 탑 속의 사리를 도둑맞으면서 허물어졌던 탑을 마을 주민들이 다시 세웠다고 한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형태이다. 기단은 여러 장의 길고 큰 돌로 바닥돌을 놓고 그 위에 쌓은 모습이며, 각 .. 2017. 1. 17.
충남 예산 장복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6호 명 칭 : 장복리삼층석탑 (長福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지정일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술면 장복리 24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예산군 관리자 : 예산군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장복리 1구 장복실 동편에 있는 석탑으로 현재 지반위에 2개의 반석을 세워 지대석으로 삼고 그위에 하대갑석 상대중석 등의 순서로 기단부를 조성하였고 위로는 2층의 탑신이 남아 있다. 기단중석은 원래 4개의 반석으로 조립되었던 것이나 현재 2개만 남아있고 나머지는 없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6호 충남 예산 장복리삼층석탑 2016.05.08 문.. 2017. 1. 12.
충남 예산 대연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8호 명 칭 : 대연사삼층석탑 (大蓮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예산군 광시면 동산리 1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련사 관리자 : 대련사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대연사는 백제 의자왕 16년(656) 나·당연합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병들을 기리기 위해 도참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대연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탑은 2층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1매의 네모진 널돌로 하여 바닥돌과 겸하고 있는 단순한 형태이다. 위층 기단 윗면에는 탑신의 1층 몸돌을 괴기위한 받침을 두었다. 탑신의 몸돌은 각 층마.. 2017. 1. 12.
충북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05호 명 칭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4.09.03 소재지 : 충북 단양군 가곡면 향산1길 24 (향산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단양군 단양읍에서 동쪽으로 16㎞ 떨어진 산골짜기의 밭 한가운데에 서 있는 탑이다. 주변에 자기조각들과 기와가 널려 있어서 이 곳이 절터였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절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1935년경 탑 속의 사리를 도둑맞으면서 허물어졌던 탑을 마을 주민들이 다시 세웠다고 한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형태이다. 기단은 여러 장의 길고 큰 돌로 바닥돌을 놓고 그 위에 쌓은 모습이며, 각 .. 2017.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