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31 강원 양양 서림사지 삼층석탑 및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19호 양양서림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정일 : 1996.09.30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구룡령로 2115 (서림리)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현재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 상평초등학교 현서분교 교정에 3층석탑과 함께 보존되어 있는 불상으로, 1965년 가까운 논에서 발견되어 옮겨 놓은 것이다. 불상의 머리는 없어졌고 몸도 손상이 많은 상태이다.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오른손으로 왼손 검지를 감싼 형태로 보아 비로자나불을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8각형의 대좌(臺座)는 결실된 부분이 있지만 조각솜씨가 매우 우수하다. 밑받침돌 위에 4매의 석재로 구성된 하대석을 올려 놓았는데, 각 면마다 1구씩의 사자를 돋을새.. 2019. 12. 13. 강원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신복사지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8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강원 강릉시 내곡동 403-2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신복사의 옛 터에 남아있는 탑이다.신복사는 통일신라 때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한 절로, 창건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즉 신라의 한 처녀가 우물에 비친 햇빛을 보고 그 물을 마셨는데 곧 아이를 배어 낳게 되었다.집안 사람들이 아이를 내다버렸으나, 아이의 주위로 빛이 맴돌아 괴이하게 여겨 다시 데려와 길렀는데, 그 이름을 범(梵)이라 하였다.범이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고향에 돌아와 신복사와 굴산사(掘山寺)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이 탑은 2.. 2019. 12. 13. 전남 신안 읍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명 칭 : 신안읍리삼층석탑 (新安邑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8.09.22 소재지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읍리 350-1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들판 한 가운데 서 있는 탑으로, 탑이 속했던 절의 구체적인 역사는 전하고 있지 않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를 세우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마다 기둥조각을 가지런히 새겨 넣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한돌로 이루어졌으며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고 있어 안정감을 준다. 두꺼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약간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2019. 12. 6. 경북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 종 목 : 국보 제112호 명 칭 :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가람으로 가는 최초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감은사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당시 틈만 나면 동해로 쳐들어 오던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어 나라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세운 절로, 동해 바닷가인 이 곳.. 2019. 11. 19. 강원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6호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재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0.01.22 소재지 : 강원 태백시 황지동 467-10번지 시 대 : 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본적사지는 일명 번적사지로도 불리는데, 이 곳 주변에는 많은 절터들이 있다. 절터 주변에는 이중기단 삼층석탑의 석탑재와 기와 조각 등이 흩어져 있다. 기단부로 발견된 탑재는 지대석(기초부에 까는 받침돌), 아래층 기단, 위층 기단의 부재이다. 아래층 기단과 위층 기단 면석(탑 기단의 받침돌과 덮개돌 사이에 막아댄 넓은 돌)에는 모서리기둥과 버팀기둥이 표현되어 있고, 갑석(뚜껑처럼 덮은 돌)에는 2단의 굄받침이 있다. 탑 몸체부는 지붕돌 2개와 몸돌 2개가 발견되었다.. 2019. 10. 4. 강원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보물 제1277호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8.04.06 소재지 :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 (삼화동, 삼화사) 시 대 : 통일신라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삼화사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아 보이는 기단은 각 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에는 별도의 탑신 괴임돌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번갈아 쌓아 올렸는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그 규모가 서서히 줄어든다. 여러군데에 금이 가 있고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대체로 잘 남아있고 균형이 잘 잡힌 단아한 모습이다. 기단의 구성이나 .. 2019. 10. 4. 충남 홍성 광경사지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9호 광경사지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소향리 34번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광경사의 옛 터에 당간지주와 함께 남아 있는 3층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각 면의 중앙과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이 큰것에 비해 2·3층 몸돌의 높이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 갔다.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주고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9호 광경사지삼층석탑 문현준의.. 2019. 9. 20. 경기 과천 연주암 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4호 연주암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0.06.02 소재지 : 경기 과천시 자하동길 64 (중앙동) 시 대 : 고려시대 자 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연주암 대웅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연주암은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 의상대사가 ‘관악사(冠岳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의 단장을 거치고, 양녕대군과 효녕대군이 머물면서 연주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형태이다. 바닥돌에는 연꽃을 둘러 장식하고, 기단 네 모서리와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두툼한 지붕돌은 밑면에 1층은 4단, 2·3층은 3단의 받침을 두어 .. 2019. 9. 7. 충남 대전 한남대학교내 석탑 대전 한남대학교내 석탑 2017.08.06 2019. 9. 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