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31 전남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51호 명 칭 :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求禮 鷰谷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354번지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연곡사 관리자 : 연곡사 연곡사의 법당 남쪽에 서 있는 석탑으로, 3단의 기단(基壇)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각 층에는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겨 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각 층의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각 층마다 4단이고 처마 밑은 수평이다. 또한 윗면에는 경쾌한 곡선이 흐르고, 네 귀퉁이에서의 치켜올림도 우아하다.. 2015. 10. 23. 전남 구례 사도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호 명 칭 : 구례사도리삼층석탑 (求禮沙圖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72.01.29 소재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산33-1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이종기 문 의 : 전라남도 구례군 문화관광과 061-780-2390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석탑이다. 밑돌 ·가운데돌 ·맨윗돌을 쌓아 3단으로 마련한 기단은 아무런 조각을 하지 않았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씩의 돌로 쌓아 올렸으며, 역시 별다른 장식은 없다. 두터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이 두꺼운 원형을 이루어 받침을 대신하고 있고, 네 귀퉁이는 위로 들려있다. 3층 지붕돌 위로는 노반(露盤:머.. 2015. 10. 23. 전남 구례 논곡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509호 명 칭 :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求禮 論谷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9.06.2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구례읍 논곡리 산51-1번지 시 대 : 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구례군 논곡리(論谷里) 뒷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으며, 탑의 아랫부분이 파묻혀 있어 땅 위로 보이는 모습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은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기고 맨윗돌에는 두툼한 연꽃받침을 두어 탑신을 받도록 하였다. 화려한 12개의 연꽃조각은 끝이 위로 올라갔으며 이러한 받침대는 다른 석탑에서는 볼수 없는 특이한 양식이다. 탑신부는 지붕돌과 몸돌이 각각 한 돌로 구성되었고 몸돌마다 모서.. 2015. 10. 23. 세종 연기 비암사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 명 칭 : 비암사삼층석탑 (碑岩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편입면적8.4평방미터 지정일 : 1985.07.19 소재지 : 충남 연기군 전의면 비암사길 13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비암사 관리자 : 비암사 문 의 : 충청남도 연기군 문화공보과 041-861-2293 비암사 극락보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1982년 복원 공사를 하면서 없어진 기단부를 보완하고 뒤집혀 있던 석재들을 바로 잡았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날카롭게 하늘로 향해 있고,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 2015. 10. 13. 전남 순천 선암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395호 명 칭 : 순천 선암사 동ㆍ서 삼층석탑 (順天 仙巖寺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1963.09.02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죽학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선암사 관리자 : 선암사 선암사는 신라의 아도화상이 개창하여 비로암이라고 하였다고 하나 헌강왕 때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여 선암사라고 하였다는 설이 더 믿을 만하다. 절 서쪽에 높이가 10여 장(丈)이나 되고 면이 평평한 큰 돌이 있는데, 사람들은 옛 선인이 바둑을 두던 곳이라고 하여, 이 때문에 ‘선암(仙岩)’이라는 절이름이 생겼다고도 한다. 절 안의 승선교를 지나 마당에 들어서면 대웅전 앞에 좌우로 3층석탑 2기가 서있다... 2015. 10. 5. 경기 이천 중리삼층석탑 경기 이천 중리삼층석탑 2015.04.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중리삼층석탑 2015. 10. 2. 경기 이천 영월암삼층석탑 경기 이천 영월암삼층석탑 2015.04.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6/04 - [한국의법당/경기권] - [경기]이천 영월암 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영월암 삼층석탑 2015/06/04 - [한국의문화유산/경기권] - [경기]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2015. 10. 2. 경기 이천 관고리삼층석탑 경기 이천 관고리삼층석탑 2015.04.10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5/06/04 - [한국의석탑/경기도] - [경기]이천 관고리삼층석탑 2015. 10. 2. [충북]충주 미륵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3호 명 칭 : 충주 미륵대원지 삼층석탑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충주시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석굴이 있는 미륵사터 경내에서 동쪽으로 500m쯤 떨어진 곳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이곳이 원래의 터로 추정되는데 절터와 멀리 떨어진 곳에 왜 탑을 세웠는지는 알 수 없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비하여 2층 몸돌의 높이가 많이 줄.. 2015. 9. 19.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