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28 [전북]전주 덕진공원 삼층석탑 전북 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2015.02.21 문현준 이전글보기 2014/11/10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전주 덕진공원 삼층석탑 2013/04/23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2015. 8. 17. [충남]부여 대조사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0호 명 칭 : 대조사석탑 (大鳥寺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 126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조사 관리자 : 대조사 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대조사 원통보전 앞에 서 있는 탑으로, 일부만 남아있던 것을 1975년에 다른 일부를 찾아 다시 세운 것이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 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인데, 탑신의 2·3층 몸돌과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새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기단은 각 층마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 뜬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지.. 2015. 8. 15. [충북]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 명 칭 : 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忠州 丹湖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0.11.13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충원대로 201 (단월동) 시 대 소유자 : 관리자 : 단호사 문 의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체육과 043-850-6631~4 단호사 대웅전 앞뜰에 자리한 석탑으로, 현재의 자리가 원래의 터로 보이며,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가 놓여 있다.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는데, 일부가 약가 부서져 있다. 탑신부의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1층 몸돌은 제법 높직하며, 4층 몸돌의 일부로 보이는 석재가 놓여 있어 5층탑이었을 것으로 짐작되기.. 2015. 8. 5. [경기]안성 청룡사 삼층석탑 종 목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9호 명 칭 : 청룡사삼층석탑 (靑龍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6.28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 (청용리)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청룡사 문 의 : 경기도 안성시 문화체육관광과 031-678-2478 청룡사 앞뜰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네모난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은 4장의 판돌을 세워 4면을 이루게 한 뒤, 판돌을 얹어 마무리하였는데,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과 지붕돌이 교대로 올려진 탑신부는 몸돌의 모서리에 기단에서와 같은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다. 몸돌의 크기는.. 2015. 8. 1. [경남]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480호 명 칭 :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 (陜川 靈岩寺址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8.12.19 소재지 :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로 637-97 (둔내리) 시 대 : 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합천군 영암사터는 황매산(黃梅山) 남쪽 기슭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이다. 절의 창건연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014년에 적연선사(寂然禪師)가 이 곳에서 입적했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짐작된다. 절터에는 석탑을 비롯하여 쌍사자석등, 귀부 등 각종 석조유물이 남아 있다. 이 탑은 탑신부가 무너져 있던 것을 1969년에 복원하였으며, 현재 금당 앞에 새로 세운 두 채의 건물사이에 서 있다. 2단의 기단(基壇.. 2015. 7. 17. [전북]부안 내소사삼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9.08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개암사 (감교리) 소유자 : 내소사 관리자 : 내소사 연락처 : 전라북도 부안군 문화관광과 063-580-4388 내소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우고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위·아래층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급한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둥근 형태의 크고 작은 석재 2개가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해 2층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규모가 작은 탑으로,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 2015. 7. 15. [경기]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종 목 : 문화재자료 제133호 명 칭 : 여주신륵사삼층석탑 (驪州神勒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4.11.27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시 대 : 고려시대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청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경기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2015.01.02 문현준 2015. 7. 9. [경기]여주 창리,하리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91호 명 칭 : 여주 창리 삼층석탑 (驪州 倉里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상동 132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여주군 원래 창리지역 과수원 안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현재의 터로 옮긴 것이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이나 그 느낌이 독특하다.아래기단의 4면에는 안상(眼象)이 2개씩 새겨져 있는데, 움푹한 무늬의 바닥선이 꽃모양처럼 솟아올라 있어 당시의 조각기법이 잘 드러나 있다. 기단을 마감하는 맨윗돌에는 엎드린 연꽃 모양의 조각을 둘러 놓았는데, 보기 드문 모습이다. 탑신은 독특한 수법으로 돌을 올려놓고 .. 2015. 7. 9. [충남]서산 부석사 삼층석탑 충남 서산 부석사 삼층석탑 2014.12.25 문현준 2015. 7. 7.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