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31 [충남]서천 수암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9호 명 칭 : 수암리삼층석탑 (水岩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26번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서천군 문 의 : 충청남도 서천군 문화관광과 041-950-4225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탑 전체를 하나의 돌로 조성한 것이 특이하다.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치켜올라갔고,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연꽃무늬를 두른 복발(覆鉢:엎어 놓은 그릇모양)을 올려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조선 후기 이 지방을 관할.. 2014. 12. 11. [충남]홍성 광경사지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59호 명 칭 : 광경사지삼층석탑 (廣景寺址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소향리 34번지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홍성군 문 의 : 충청남도 홍성군 문화공보실 041-630-1227 광경사의 옛 터에 당간지주와 함께 남아 있는 3층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기단은 각 면의 중앙과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는데, 1층 몸돌이 큰것에 비해 2·3층 몸돌의 높이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 갔다. 전체.. 2014. 12. 5. [전남]장흥 천관사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795호 명 칭 : 장흥 천관사 삼층석탑 (長興 天冠寺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739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천관사 관리자 : 천관사 천관사는 신라 진흥왕 때 통령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천관보살을 모셨다 하여 천관사라 하였다. 바닷가에 위치하여 왜구의 칩입을 여러차례 겪은 탓에 그 규모가 점차 축소되어 현재는 천관보살을 모셨던 법당만 남아있다. 법당에서 조금 떨어진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진 고려시대의 탑이다. 탑신을 받치고 있는 기단은 아래·위층 모두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본떠 새겨두었다. .. 2014. 11. 27. [경기]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및 삼층석탑 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 명 칭 : 안양중초사지삼층석탑 (安養中初寺址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7.12.26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석수동)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관리자 : 안양시 문 의 : 경기도 안양시 문화예술과 031-389-2473 중초사터에 남아 있는 탑으로, 원래의 자리는 아니고 1960년 옛 터에 공장이 들어서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이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부는 2·3층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3개 포개져 있다. 기단과 1층 몸돌의 4면에는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 2014. 11. 18. [전북]전주 덕진공원 삼층석탑 전북 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2014.04.18 문현준 덕진공원 삼층석탑 이전글보기 2013/04/23 - [한국의석탑/전라북도] - [전북]전주 덕진공원삼층석탑 2014. 11. 10. [충남]예산 대연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8호명 칭 : 대연사삼층석탑 (大蓮寺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예산군 광시면 동산리 11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대련사관리자 : 대련사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대연사는 백제 의자왕 16년(656) 나·당연합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병들을 기리기 위해 도참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대연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탑은 2층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1매의 네모진 널돌로 하여 바닥돌과 겸하고 있는 단순한 형태이다. 위층 기단 윗면에는 탑신의 1층 몸돌을 괴기위한 받침을 두었다. 탑신의 몸돌은 각 .. 2014. 10. 15. [충남]보령 성주사지 및 석탑 명 칭 : 보령 성주사지 (保寧 聖住寺址) 종 목 : 사적 제30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면적 : 29,757㎡ 지정일 : 1984.08.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시 대 : 통일일신라 소유자 : 국유,사유 관리자 : 보령시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제19호),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 2014. 10. 15. [경주]동국대학교내 석탑 동국대학교내 삼층석탑 동국대학교내 오층석탑 기타 석탑재 몸돌중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내 석탑들 2013.12.22 문현준 2014. 10. 13. [경북]경주 경찰서내 석탑 경북 경주 경찰서내 석탑 2013.12.22 문현준 2014. 10. 13.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