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31 [전남]순천 금둔사지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945호명 칭 :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8.04.01소재지 :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 금둔사시 대 : 통일신라소유자 : 국유관리자 : 금둔사 낙안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약 2km 떨어진 금전산의 무너진 절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절터를 금둔사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는 조그마한 암자가 지어져 금둔사의 명맥을 잇고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八部衆像)을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탑신은 몸돌과.. 2013. 9. 3. [충남]청양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8호명 칭 : 청양삼층석탑 (靑陽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청양군 청양읍 칠갑산로9길 58 (읍내리 15-37)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청양군관리자 : 청양군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청양삼존불입상(보물 제97호)과 함께 ‘일명사’라는 옛 절터에 있던 탑으로, 군청 뒤편에 옮겼다가 1961년 지금의 장소로 옮겨 세웠다. 형태는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간결하게 짜여 있고, 탑신은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한 돌로 만들어 쌓아 올렸다. 탑신의 1층 몸돌 앞면에는 문짝모양을 본 떠 새겼다. 꼭대기에는 노반.. 2013. 8. 30. [충남]청양 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8호 명 칭 : 청양삼층석탑 (靑陽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청양읍 칠갑산로9길 58 (읍내리 15-3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청양군 관리자 : 청양군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청양삼존불입상(보물 제97호)과 함께 ‘일명사’라는 옛 절터에 있던 탑으로, 군청 뒤편에 옮겼다가 1961년 지금의 장소로 옮겨 세웠다. 형태는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간결하게 짜여 있고, 탑신은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한 돌로 만들어 쌓아 올렸다. 탑신의 1층 몸돌 앞면에는 문짝모양을 본 떠 새겼다... 2013. 8. 24. [충남]예산 대련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8호명 칭 : 대연사삼층석탑 (大蓮寺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예산군 광시면 동산리 11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대련사관리자 : 대련사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대연사는 백제 의자왕 16년(656) 나·당연합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병들을 기리기 위해 도참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대연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탑은 2층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1매의 네모진 널돌로 하여 바닥돌과 겸하고 있는 단순한 형태이다. 위층 기단 윗면에는 탑신의 1층 몸돌을 괴기위한 받침을 두었다. 탑신의 몸돌은 각 층마다 모서리에 기둥.. 2013. 8. 23. [인천]연수 인천시립박물관삼층석탑(송학장석탑) 유적명 : 송학장 석탑(탑동 삼층석탑) 구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1가 (시장관사 내) 지정종목 : 지정사항없음 시 대 : 고려 종 류 : 유적.건조물-석탑 유적설명 松鶴莊 내에는 고려 때 석탑과 같은 시기의 제작으로 보이는 석탑 중 옥개, 옥신 등 7,8점에 달하는 석탑 부분이 수집되어 있는데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회에서 조사한 결과 충남 보령군 대천면 남곡리(원탑동)에서 옮겨온 것이라 한다. 현재는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옮겨져 있다. 참고사항 인천직할시사 편찬위원회, 1993, 《인천시사》 자 료 :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인천시 연수구 청량로 160번길26 (옥련동525) 인천시립박물관 삼층석탑(송학장석탑) 2012.01.12 문현준 2013. 8. 21. [인천]계양 봉일사지삼층석탑 인천 계양 계산동 봉일사지삼층석탑 2013.01.12문현준 2013. 8. 20. [충남]연기 비암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 명 칭 : 비암사삼층석탑 (碑岩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편입면적8.4평방미터 지정일 : 1985.07.19 소재지 : 충남 연기군 전의면 비암사길 13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비암사 관리자 : 비암사 문 의 : 충청남도 연기군 문화공보과 041-861-2293 비암사 극락보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1982년 복원 공사를 하면서 없어진 기단부를 보완하고 뒤집혀 있던 석재들을 바로 잡았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날카롭게 하늘로 향해 있고,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 2013. 7. 31. [전북]군산 탑동삼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6호명 칭 : 탑동삼층석탑 (塔洞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74.09.27소재지 : 전북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66-1시 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군산시문 의 : 전라북도 군산시 문화관광과 063-450-6325 1층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후 머리장식을 얹은 탑으로, 백제탑 양식을 일부 보이고 있다. 기단은 밑바닥돌이 탑의 보수 당시 콘크리트에 묻혀 버렸다. 탑신부는 각 부분을 조립하듯 여러 돌로 짜 맞추었는데, 1층 몸돌은 큰 편이나, 2·3층의 몸돌은 높이가 급격히 낮아졌다. 1층 지붕돌은 별도의 돌로 2단의 받침을 두었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네 귀퉁이가 살짝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노반(.. 2013. 7. 10. [충남]아산 인취사석탑 인취사석탑 종 목 : 문화재자료 제235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200 시 대 : 시대미상 소유자 : 인취사 관리자 : 인취사 연락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관광과 041-540-2546 학성산 기슭의 인취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기단부(基壇部)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이 쌓여 있고 탑의 머리를 갖춘 형태이다.기단부는 돌 하나만이 바닥돌의 역할을 하며 놓여 있는데 그 윗면에 1단의 괴임돌이 있다.그러나 탑신부의 재질과 비교하여 볼 때 같은 돌로 보이지 않는다.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딴돌로 이루어져 있다.1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이 있다.지붕돌은 밑면에 .. 2013. 7. 2.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