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428 [충남]예산 대련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8호명 칭 : 대연사삼층석탑 (大蓮寺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예산군 광시면 동산리 11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대련사관리자 : 대련사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대연사는 백제 의자왕 16년(656) 나·당연합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병들을 기리기 위해 도참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대연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탑은 2층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1매의 네모진 널돌로 하여 바닥돌과 겸하고 있는 단순한 형태이다. 위층 기단 윗면에는 탑신의 1층 몸돌을 괴기위한 받침을 두었다. 탑신의 몸돌은 각 층마다 모서리에 기둥.. 2013. 8. 23. [인천]연수 인천시립박물관삼층석탑(송학장석탑) 유적명 : 송학장 석탑(탑동 삼층석탑) 구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1가 (시장관사 내) 지정종목 : 지정사항없음 시 대 : 고려 종 류 : 유적.건조물-석탑 유적설명 松鶴莊 내에는 고려 때 석탑과 같은 시기의 제작으로 보이는 석탑 중 옥개, 옥신 등 7,8점에 달하는 석탑 부분이 수집되어 있는데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회에서 조사한 결과 충남 보령군 대천면 남곡리(원탑동)에서 옮겨온 것이라 한다. 현재는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옮겨져 있다. 참고사항 인천직할시사 편찬위원회, 1993, 《인천시사》 자 료 :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인천시 연수구 청량로 160번길26 (옥련동525) 인천시립박물관 삼층석탑(송학장석탑) 2012.01.12 문현준 2013. 8. 21. [인천]계양 봉일사지삼층석탑 인천 계양 계산동 봉일사지삼층석탑 2013.01.12문현준 2013. 8. 20. [충남]연기 비암사삼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 명 칭 : 비암사삼층석탑 (碑岩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편입면적8.4평방미터 지정일 : 1985.07.19 소재지 : 충남 연기군 전의면 비암사길 137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비암사 관리자 : 비암사 문 의 : 충청남도 연기군 문화공보과 041-861-2293 비암사 극락보전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1982년 복원 공사를 하면서 없어진 기단부를 보완하고 뒤집혀 있던 석재들을 바로 잡았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날카롭게 하늘로 향해 있고,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 2013. 7. 31. [전북]군산 탑동삼층석탑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6호명 칭 : 탑동삼층석탑 (塔洞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74.09.27소재지 : 전북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66-1시 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군산시문 의 : 전라북도 군산시 문화관광과 063-450-6325 1층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후 머리장식을 얹은 탑으로, 백제탑 양식을 일부 보이고 있다. 기단은 밑바닥돌이 탑의 보수 당시 콘크리트에 묻혀 버렸다. 탑신부는 각 부분을 조립하듯 여러 돌로 짜 맞추었는데, 1층 몸돌은 큰 편이나, 2·3층의 몸돌은 높이가 급격히 낮아졌다. 1층 지붕돌은 별도의 돌로 2단의 받침을 두었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네 귀퉁이가 살짝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노반(.. 2013. 7. 10. [충남]아산 인취사석탑 인취사석탑 종 목 : 문화재자료 제235호 (충남)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200 시 대 : 시대미상 소유자 : 인취사 관리자 : 인취사 연락처 :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관광과 041-540-2546 학성산 기슭의 인취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기단부(基壇部)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이 쌓여 있고 탑의 머리를 갖춘 형태이다.기단부는 돌 하나만이 바닥돌의 역할을 하며 놓여 있는데 그 윗면에 1단의 괴임돌이 있다.그러나 탑신부의 재질과 비교하여 볼 때 같은 돌로 보이지 않는다.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딴돌로 이루어져 있다.1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이 있다.지붕돌은 밑면에 .. 2013. 7. 2. [경북]경주 기림사삼층석탑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명 칭 : 기림사삼층석탑 (祇林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10.15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419 소유자 : 기림사 관리자 : 기림사 문 의 : 경상북도 경주시 문화재과 054-779-6392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으로, 전체적인 모습이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다. 현재 아래층 기단은 일부만 남아 있고, 위층 기단은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겨놓았다.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경사면이 완만하고 네 귀퉁이에서 약간 위로 올라가 있으며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 2013. 6. 4. [경북]경주 황복사지삼층석탑 종 목 : 국보 제37호 명 칭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구황동 103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통일신라 신문왕이 돌아가신 후 그 아들인 효소왕이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세운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며,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국보 제112호)이나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8호)에 비해 작은 규모이다. 기단의 양식은 두 탑과 거의 비슷하나, 기단의 각 면에 새겨진 가운데 기둥이 3개에서 2개로 줄어 있다. 탑신부도 여러개의 돌로 짜맞추는 대신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 2013. 6. 4. [경북]경주 감은사지삼층석탑 종 목 : 국보 제112호 명 칭 :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2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가람으로 가는 최초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감은사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당시 틈만 나면 동해로 쳐들어 오던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어 나라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세운 절로, 동해 바닷가인.. 2013. 6. 4.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