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층석탑431

[충남]아산 오봉암삼층석탑 오봉암삼층석탑 대웅전 축대 아래에 세워진 삼층석탑은 별다른 장식없이 담백하고 단아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지대석과 기단부, 3층의 탑신과 옥개석을 갖추고 있는데, 지대석에는 각 면에 2개씩의 안상이 있고 기단부에는 우주와 탱주가 모각되었다. 그 위의 갑석에는 3단의 탑신 괴임이 조각되어 있으며, 3층의 탑신과 옥개석이 올려져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 각 층의 탑신에는 우주가 모각되었고, 옥개석은 3단의 괴임을 가지고 있다. 상륜부는 현재 결실되어 새로 올려놓았으나 작은 크기와 다소 치졸한 모습으로 인해 격에 어울리지 않는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전체 높이는 250cm이다. 원래 자비원 건물이 있던 곳에 있었는데, 대웅전 건립시 현재의 장소로 이전한 것이다. 자료는 전통사찰종합관광정보에서    .. 2014. 10. 10.
[전남]곡성 태안사 삼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0호 명 칭 : 태안사삼층석탑 (泰安寺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8.12.21 소재지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 (원달리) 시 대 : 소유자 : 관리자 : 태안사 문 의 : 전라남도 곡성군 지역개발과 061-363-1633 태안사 내 연못 중앙에 마련된 작은 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절 내의 광자대사 부도 앞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원래는 기단(基壇)의 한쪽 면과 탑신(塔身)의 1층 지붕돌, 2·3층 몸돌이 없어진 상태였는데, 이곳으로 옮기면서 새로이 보충하여, 2층 기단에 3층의 탑신을 갖추고 있다. 기단 아래로는 탑을 옮길 때 마련해 둔 3단의 받침이 놓여 있어 전체.. 2014. 8. 8.
[강원]춘천 서상리삼층석탑 종 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호 명 칭 : 서상리삼층석탑 (西上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12.16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서면 서상리 247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춘천시 문 의 : 강원도 춘천시 문화예술과 033-250-3062 양화사터에 남아 있는 3층 석탑이다. 주변에 절의 흔적은 보이지 않고, 탑만이 홀로 남아 옛 터를 지키고 있다.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진 모습이다. 현재 기단은 아랫부분이 땅속에 묻혀 정확한 형태를 알기 어려우나, 2층 기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윗부분만 드러나 있는 아래층 기단 위에 위층 기단이 놓여 있는데 네 모서리에 새긴 기둥표현과 맨윗돌의 비스듬한.. 2014. 6. 26.
[강원]태백 본적사지삼층석탑 종 목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6호명 칭 :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太白 本寂寺址 三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2000.01.22소재지 : 강원 태백시 황지동 467-10번지시 대 : 신라소유자 : 관리자 : 국유문 의 : 강원도 태백시 관광문화과 033-550-2083 본적사 터에 있던 3층 석탑의 부재들이다. 30여년전 이한묵씨가 절터에 밭을 개간할 때 현재 집터 뒤에 묻혀 있던 것을 발견하여 다른 곳에 옮겨 놓았다가, 그 후 주변에 집들이 들어서면서 흩어져 하수도 뚜껑, 방 구들장, 주춧돌, 담장 등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지금은 태백시에서 각 부분들을 모아 태백석탄박물관에 보관중이다.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비교적 잘 계승한 것으로, 현재 남아.. 2014. 6. 25.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2013.08.13문현준 이전글보기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삼층석탑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오층석탑 2014. 5. 14.
[경남]진주 함양구양리삼층석탑 함양구양리삼층석탑 2013.08.04문현준 2014. 5. 2.
[대구]경북대 석탑들 대구 경북대 석탑들이틀에 걸쳐 촬영을 했는데 아무래도 언제 시간을 다시 내야 할듯. 2013.07.13문현준 2014. 4. 25.
[경북]영천 은해사 거조암삼층석탑 명 칭 : 은해사거조암삼층석탑 (銀海寺居祖庵三層石塔) 종 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4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622 시 대 : 소유자 : 은해사거조암 관리자 : 은해사거조암 문 의 : 경상북도 영천시 도시주택과 054-330-6354 은해사에 딸린 암자인 거조암 영산전 앞에 서 있는 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다. 위층 기단의 네 면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갔고, 밑면에 계단모양의 받침을 새겨 두었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모두 사라져 버린 상태이다.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자료바로가기 : 문화재.. 2014. 4. 24.
[경북]구미 대원사 삼층석탑 경북 구미 대원사 삼층석탑 미지정문화재 2013.07.13 문현준 2014.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