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층석탑428

[전북]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종 목 : 보물 제37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東ㆍ西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2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실상사 관리자 : 실상사 실상사의 중심법당인 보광전 앞뜰에 동·서로 세워져 있는 두 탑이다. 실상사는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으며 풍수지리설에 의거하여, 이 곳에 절을 세우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간다 하여 지은 것이라 한다. 이 곳에는 3층 석탑 이외에도 석등, 묘탑, 탑비, 부도, 철조여래좌상 등이 있어 유명하다. 탑은 2층으로 된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 2015. 7. 3.
[전북]남원 백장암 삼층석탑 및 석등 종 목 : 국보 제10호 명 칭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0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백장암 관리자 : 백장암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다. 이 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이 나타나는데,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그 아래 경작지에 이 탑이 세워져 있다. 낮은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각 부의 구조와 조각에서 특이한 양식과 수법을 보이고 있다. 즉, 일반적인 탑은 위로 올라갈수록 너비와 높이가 줄어드는.. 2015. 7. 3.
[경기]의정부 미륵암 삼층석탑 경기 의정부 미륵암 삼층석탑 2014.12.11 문현준 2015. 6. 26.
[경북]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명 칭 : 영천정각리삼층석탑 (永川正覺里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92.07.18 소재지 : 경북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78-1번지 시 대 소유자 관리자 : 영천시 문 의 : 경상북도 영천시 도시주택과 054-330-6354 현재는 밭으로 사용되는 자그마한 터에 서 있는 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세 몸돌은 각 면마다 기둥모양을 가지런히 새겨 놓았다. 아래층 기단에는 독특하게도 연꽃무늬를 새겨 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각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끝에서 아주 서서히 들려 있다. 꼭대.. 2015. 6. 23.
[경북]영천 공덕동 삼층석탑 종 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3호 명 칭 : 영천공덕동삼층석탑 (永川公德洞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영천시 화북면 공덕리 173-1번지 시 대 소유자 관리자 : 영천시 문 의 : 경상북도 영천시 도시주택과 054-330-6354 동덕사라는 절에 있던 3층 석탑으로, 절이 없어진 후 서씨 문중 소유인 송계정사에 옮겨졌다가 1973년 동네 입구로, 1974년 다시 지금의 자리로 옮겨 왔다. 형태는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두툼하며,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 두툼하게 조각된 지붕돌 솜씨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운 것.. 2015. 6. 23.
[충북]제천 소악사지삼층석탑 충북 제천 소악사지 삼층석탑 2014.11.29 문현준 2015. 6. 5.
[경기]이천 중리삼층석탑 경기 이천 중리삼층석탑 2014.11.21 문현준 2015. 6. 4.
[경기]이천 관고리삼층석탑 경기 이천 관고리삼층석탑 2014.11.21 문현준 2015. 6. 4.
[경기]이천 영월암 삼층석탑 경기 이천 영월암 삼층석탑 2014.11.21 문현준 2015.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