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층석탑290

[전북]군산 발산리오층석탑 및 석등 종 목 : 보물 제276호 명 칭 :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群山 鉢山里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군산시 원래는 완주(完州) 봉림사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였으나 지금은 탑신의 한 층이 없어지고 4층까지만 남아있다. 아래·위 기단 모두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기단 위로 4층의 탑신에는 각 층의 몸돌마다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경사가 급하고 추녀 끝이 약간 들려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밑에는 3단의 받침을.. 2014. 6. 24.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대학내 석탑 2013.08.13문현준 이전글보기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삼층석탑2012/03/05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오층석탑 2014. 5. 14.
[충남]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9호 명 칭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시 대 : 백제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부여군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 2014. 5. 14.
[충남]부여 세탑리오층석탑 명 칭 : 부여세탑리오층석탑 (扶餘細塔里五層石塔)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량/면적 : 1기/400㎡지정일 : 1973.12.24소재지 : 충남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 311번지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부여군관리자 : 부여군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탑이 서 있는 터 주변에는 청량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며, 곳곳에 절을 이루는 건물에 쓰였던 돌과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다. 탑의 둘레에 높이 1m 가량의 석축을 쌓아 기단부(基壇部)는 거의 보이지 않아 맨윗돌만 드러나 있고, 그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각 층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2층 이상은 1층에 비해 급격히 낮아졌다. 지.. 2014. 5. 14.
[전남]진도 상만리오층석탑 명 칭 : 진도상만리오층석탑 (珍島上萬里五層石塔)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호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72.01.29소재지 :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길 58 (상만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진도군관리자 : 진도군문 의 : 전라남도 진도군 문화관광과 061-540-3225 상만사터라고 전해지는 곳에 서 있는 탑으로, 현재는 이 곳에 구암사라는 새 절이 생겨 탑을 보호, 관리하고 있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위층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희미하게 기둥모양을 새겼는데 특히 몸돌 부분은 거의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1층부터 4층까지는 3단씩이고, 5층은 2단으로 줄었다. 꼭대기에는 .. 2014. 5. 12.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앞 오층석탑 충남 공주 신원사 대웅전앞오층석탑 2013.07.28문현준 이전글보기2011/10/11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공주 신원사 대웅전앞오층석탑 2014. 4. 30.
[충남]서천 성북리오층석탑(비인오층석탑) 명 칭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종 목 : 보물 제224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천군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 2014. 4. 26.
[충북]청주 보살사 오층석탑 명 칭 : 청주 보살사 오층석탑 (淸州 菩薩寺 五層石塔)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0.11.13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시 대 : 보살사 관리자 : 보살사 문 의 : 충청북도 청주시 문화관광과 043-200-2218 보살사는 청주 근교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이 창건하였다. 보살사 극락보전 앞에 자리한 이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3단의 괴임돌을 크기를 줄여 쌓아올린 모습이다. 맨윗돌의 괴임 윗면에는 아래로 향한 8잎의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아 통일신라 후기나 고려의 석탑양식이 엿보인다. 탑신부는.. 2014. 4. 19.
[충남]청양 계봉사오층석탑 계봉사오층석탑 (鷄鳳寺五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목면 본의리 67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계봉사 관리자 : 계봉사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계봉사의 정원 가운데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계봉사는 백제 성왕 때 지었다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때 지어졌다고 하나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헌종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옛이름을 따서 작은 규모로 새로이 짓고 정원을 꾸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5층 석탑과 물을 받는 돌구유만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2014.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