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층석탑290

[충남]서산 개심사 오층석탑 충남 서산 개심사 오층석탑 2012.12.31문현준 이전글보기2012/04/02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서산 개심사오층석탑2012/04/02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서산 개심사2011/09/26 - [한국의석탑/충남권] - [충남]서산 개심사 오층석탑2011/09/26 - [한국의법당/충청권] - [충남]서산 개심사 대웅전 2013. 8. 15.
[전북]군산 발산리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276호명 칭 :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群山 鉢山里 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63.01.21소재지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군산시 원래는 완주(完州) 봉림사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였으나 지금은 탑신의 한 층이 없어지고 4층까지만 남아있다. 아래·위 기단 모두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기단 위로 4층의 탑신에는 각 층의 몸돌마다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경사가 급하고 추녀 끝이 약간 들려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밑에는 3단의 받침을 두어 고려시대.. 2013. 7. 10.
[경북]경주 장항리사지서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236호 명 칭 :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慶州 獐項里 西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7.03.09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1083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경주시 장항리사지는 토함산 동쪽의 한 능선이 끝나는 기슭에 마련된 절터로서, 절의 이름을 정확히 알 수 없어 마을의 이름인 ‘장항리’를 따서 장항리사지라 부르고 있다. 이 곳에는 현재 금당터를 중심으로 동탑과 서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1923년 도굴범에 의해 붕괴된 것을 1932년에 복원이 가능한 서탑만을 새로이 복원해 놓았다. 동탑은 1층 탑신(塔身)과 5층까지의 지붕돌만 남아있으나, 서탑은 약간 소실된 것을 빼고는 비교적 온전.. 2013. 6. 7.
[충남]논산 개태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74호 명 칭 : 개태사오층석탑 (開泰寺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7.19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396 소유자 : 개태사 관리자 : 개태사 문 의 : 충청남도 논산시 문화관광과 041-730-3226 개태사는 고려 태조 13년(930) 고려 건국을 기념하고자 창건한 사찰로, 이후 폐허가 되어 절터만 남아있던 것을, 훗날 김광영 스님이 새로 건물들을 지어 ‘도광사’라 하였다가 다시 ‘개태사’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절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옛 터에 남아 있었는데, 절을 새로 지을 때 이곳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옮길 당시 아래 부분이 일부 없어져 완전한 제 모습을 갖추고 있지는 않.. 2013. 5. 6.
[서울]종로 창경궁 오층석탑 창경궁 오층석탑 2012.11.11 문현준 2013. 5. 4.
[경북]문경 갈평리오층석탑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5호 명 칭 : 문경갈평리오층석탑 (聞慶葛坪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12.29 소재지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갈평리 564-3 시 대 :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문경군 문 의 : 경상북도 문경시 문화관광과 054-550-6062 갈평출장소 내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에게 빼앗겼던 것을 이웃주민들이 다시 찾아 이 곳에 옮겨 세웠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1층으로 두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4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본 떠 새겼다. 탑신의 두꺼운 지붕돌은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 2013. 3. 6.
[경북]문경 성불암오층석탑 경북 문경 성불암 오층석탑 2012.09.11 문현준 2013. 3. 4.
[경북]구미 죽장리오층석탑 종 목 : 국보 제130호명 칭 :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龜尾 竹杖里 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68.12.19소재지 : 경북 구미시 선산읍 죽장2길 90 (죽장리)시 대 : 통일신라소유자 : 국유관리자 : 구미시자 료 : 문화재청 선산 읍내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죽장사터에 있는 석탑으로, 주변에 석재와 기와조각이 널려 있어 건물터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바닥돌에서 머리장식에 이르기까지 100여 개가 넘는 석재로 짜여져 있으며, 전탑형의 오층탑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탑으로, 높이가 10m에 이른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 탑신(塔身)을 세우고 그 위로 머리장식을 얹고 있는 거대한 모습이다. 탑신부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불상.. 2012. 12. 20.
[경북]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53호 명 칭 :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醴泉 開心寺址 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 200-3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예천군 고려 전기에 창건된 개심사에 있던 탑이었으나,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고, 현재는 논 한가운데에 서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4면마다 둥근 테두리 선을 새기고 그 안에 머리는 짐승, 몸은 사람인 12지신상(十二支神像)을 차례로 조각하였다. 위층 기단은 4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겨 면을 나눈 다음 그 안에 팔부중상(八部衆像)을 새겨 놓았다. 팔부중상은 불법을.. 2012.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