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층석탑292 [충북]청주 보살사 오층석탑 명 칭 : 청주 보살사 오층석탑 (淸州 菩薩寺 五層石塔)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0.11.13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시 대 : 보살사 관리자 : 보살사 문 의 : 충청북도 청주시 문화관광과 043-200-2218 보살사는 청주 근교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이 창건하였다. 보살사 극락보전 앞에 자리한 이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갖춘 모습이다. 기단은 3단의 괴임돌을 크기를 줄여 쌓아올린 모습이다. 맨윗돌의 괴임 윗면에는 아래로 향한 8잎의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아 통일신라 후기나 고려의 석탑양식이 엿보인다. 탑신부는.. 2014. 4. 19. [충남]청양 계봉사오층석탑 계봉사오층석탑 (鷄鳳寺五層石塔) 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목면 본의리 675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계봉사 관리자 : 계봉사 문 의 : 충청남도 청양군 기획감사실 041-940-2226 계봉사의 정원 가운데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계봉사는 백제 성왕 때 지었다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때 지어졌다고 하나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헌종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옛이름을 따서 작은 규모로 새로이 짓고 정원을 꾸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5층 석탑과 물을 받는 돌구유만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2014. 4. 14. [충남]공주 신원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532.000 ㎡ )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4층 지붕돌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는데 이것은 목조건축의 기둥을 모방한 것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처마는 거의 수평이다. 석탑의 서쪽에는 배례석(拜禮.. 2013. 10. 9. [전남]보성 옥마리 오층석탑 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명 칭 : 보성옥마리오층석탑 (寶城玉馬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2.07 소재지 : 전남 보성군 노동면 옥마리 348 시 대 : 소유자 : 월림사 관리자 : 월림사 문 의 : 전라남도 보성군 문화관광과 061-852-5924 고려 성종 15년(966)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월림사터에 남아있는 탑으로, ‘벽옥탑(碧玉塔)’이라고도 한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조각하였다. 두툼한 지붕돌은 느린 경사가 흐르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으며, 밑면에 1·2층은 5단, 3층은 4단, 4·5층은 3단의 받침.. 2013. 9. 4. [전남]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1115호명 칭 :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寶城 鳳川里 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92.01.15소재지 : 전남 보성군 복내면 봉천리 767-1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국유관리자 : 보성군 오동사터에 서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기단은 아래층 기단이 너무 낮아 마치 바닥돌처럼 보인다. 위층 기단의 남쪽 면에는 승려의 모습이 돋을새김되어 있어 흥미롭다. 탑신은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새겨 쌓았는데, 1층 몸돌만은 4장의 판판한 돌을 사방으로 세워 구성하였다. 각 층의 몸돌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본 뜬 조각이 보이며, 1층 몸돌의 크기에 비해 2층은 눈에 띄게 작.. 2013. 9. 4. [경기]용인 공세리오층석탑 종 목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명 칭 : 용인공세리오층석탑 (龍仁貢稅里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3.09.19소재지 :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264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황병태관리자 : 용인시문 의 : 경기도 용인시 문화예술과 031-324-2147, 2148 이름을 알 수 없는 옛 절터에 불상, 석등 하대석 등 과 함께 보존되어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다. 기단부의 지대석은 16판의 연꽃(복련)으로 장식되었으며, 그 위로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조각한 4장의 판돌을 사방에 세워 만들었는데, 현재 마주보는 2장이 없어졌다. 탑신부의 몸돌은 1층에 비해 2층 몸돌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그 위층.. 2013. 9. 2. [충남]공주 신원사 오층석탑 신원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면적 1기( 532.000 ㎡ )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신원사 문 의 : 충청남도 공주시 문화재관리소 041-840-2814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4층 지붕돌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는데 이것은 목조건축의 기둥을 모방한 것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처마는 거의 수평이다. 석탑의 서쪽에.. 2013. 8. 28. [충남]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종 목 : 보물 제799호명 칭 :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公州 麻谷寺 五層石塔)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수 량 : 1기지정일 : 1984.11.30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시 대 : 고려시대소유자 : 마곡사관리자 : 마곡사 마곡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구한말에는 독립운동가 김구와도 인연이 깊었던 사찰이다. 김구는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했던 일본인 장교를 죽인 후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하여 이 절에 숨어서 승려로 지냈는데, 지금도 대광보전 앞쪽에는 김구가 심었다는 향나무가 자라고 있다. 절마당에 우뚝 서 있는 이 탑은 탑 전체의 무게를 받쳐주는 기단(基壇)을 2단으로 쌓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올.. 2013. 8. 24. [충남]부여 홍양리오층석탑 종 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제29호 명 칭 : 부여홍량리오층석탑 (扶餘鴻良里五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홍량리 190-1 외 1필지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사유 관리자 : 부여군 문 의 : 충청남도 부여군 문화관광과 041-830-2241 안량사(安良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에 남아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절이 있었던 흔적은 찾을 수 없고 다만 탑 주변으로 기와·자기조각, 토기 등이 흩어져 있을 뿐이다. 탑의 실제기단의 하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지대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하단의 기단석이 마련되었다. 하단은 여러매의 돌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일부 유실이 된 상태이고 상단.. 2013. 8. 20.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3 다음